
810만장의 문화소비쿠폰 을 지급한 뒤 지방 사용을 유도하고 비수도권 소재 소상공인 제품을 구매한 10명에게 2000만원을 지급한다. 중국 국경절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계기로 방한관광객 유치에도 나선다.
정부는 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이러한 내용을 담은 '지방 살리기 상생소비 활성화 방안'을 발표했다. 이번 회의는 이재명 정부에서 처음 진행된 경제관계장관회의다.
지난 6월 새 정부 출범 이후 부진했던 소비가 회복세로 전환되고 있다. 지난해 말 12·3 비상계엄으로 위축됐던 소비자심리지수는 반등하기 시작했고 가계 신용카드 이용액 증가율도 상승세다. 지난달부터 지급되기 시작한 민생회복 소비쿠폰 등 내수 활성화 정책에 따른 소비 회복세도 커질 전망이다.
이에 정부는 소비 회복 추세가 전국적으로 확대될 수 있도록 관계 부처 합동으로 지방 소비 회복을 추진한다. 우선 이달 '숙박세일페스타'를 통해 비수도권에 숙박쿠폰을 발급하고 9~11월 '여행가는 가을' 행사를 통해 63만명에게 교통과 숙박 등을 최대 50% 할인한다. 10월에는 듀티프리페스타, 11월에는 코리아세일페스타, 12월에는 코리아그랜드세일을 추진해 내수 활성화에 박차를 가한다.
지방을 살리기 위한 기관과 비수도권 지자체의 '상생 자매결연'에도 나선다. 비수도권 기초지자체 1곳당 최소 2곳 이상의 기관과 상생 자매결연은 추진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관광교류와 특산품 공동구매가 활성화 될 것으로 기대된다.
비수도권 지자체의 상생 자매결연을 희망하는 중앙부처나 공공기관, 민간기업의 자율체결을 지원하고 연 1회 이상 단체방문 등 관광교류를 활성화한다. 지속적인 상생관계가 이어지도록 선도사례를 창출·확산하고 지원에도 나선다.
비수도권 지역을 중심으로 소비 인센티브를 우대한다. 정부는 숙박쿠폰(80만장), 미술전시쿠폰(160만장), 공연예술쿠폰(50만장), 영화쿠폰(450만장), 스포츠시설쿠폰(70만장) 등 5대 문화소비쿠폰 810만장을 지급하고 지방 집중사용을 유도한다.
구체적으로 비수도권 지역에서 사용가능한 숙박쿠폰을 이달 20일부터 발급하고 산불·호우 피해 특별재난지역 등은 추가 할인을 제공한다. 전시·공연 쿠폰은 오는 8일부터 발급하고 전국 공용쿠폰 이용한도(1인당 5개·예매처별 2매)에 더해 비수도권 전용쿠폰은 예매처별 2매 추가한도를 부여한다.
지방 관광·소비 활성화를 위해 경품 사업을 신설하고 지역사랑상품권 활성화에도 나선다. 오는 10월 9일까지 비수도권 소재 소상공인 제품을 5만원 이상 구매한 10명을 추첨해 2000만원을 지급한다.
디지털관광주민증 발급자가 인구감소지역 여행 시 추첨으로 할인권을 지급하는 '이달의 여행 운' 혜택은 50만원에서 100만원으로 확대한다. 지역사랑상품권 구매 시 기업 업추비 추가한도는 20%로 상향한다.
방한관광객 유치도 확대한다. 중국 국경절(10월 1~8일), APEC 정상화의(10월 31일~11월 1일) 계기로 방한관광객을 집중 유치한다. 면세점의 '선판매 후제자'을 도입하고 제주면세점의 세부 판매 품목도 확대한다.
내년부터는 'K-지역관광 토탈 패키지' 등을 도입해 방한관광객을 지속 확산한다. 다부처 사업을 연계해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를 할용하고 규제프리 등을 패키지로 지원하는 것이 핵심이다.정부는 이를 위해 'K-지역관광 TF'를 구성해 내년 시범사업에 나설 방침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