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2·3 비상계엄’ 내란 및 외환 혐의를 수사 중인 조은석 특별검사팀이 6일 홍철호 전 대통령실 정무수석을 참고인 신분으로 소환 조사했다. 박지영 특검보는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홍 전 수석은 오후 1시 30분부터 조사 중”이라며 “비상계엄 선포를 전후한 당시 대통령실 내부 논의 경위와 관련자들의 행적에 대해 확인하고 있다”고 밝혔다.
홍 전 수석은 앞서 검찰 수사 과정에서 비상계엄 논의와 관련한 대통령 및 비서실장의 반응을 진술한 바 있다. 그는 당시 “대통령이 ‘저를 설득하지 말라’ 혹은 ‘설명하지 말라’는 말을 했고, 비서실장은 ‘비상계엄은 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고 진술했다. 이어 “정확한 발언 순서는 기억나지 않지만, 이 과정에서 ‘계엄’이라는 표현을 처음 들었고, 계엄 준비가 이뤄지고 있음을 인식하게 됐다”고 했다.
특검은 같은 날 김대경 전 대통령경호처 지원본부장과 김대진 한국예술종합학교(한예종) 총장도 참고인으로 소환했다. 김 전 본부장은 지난해 12월 비상계엄 모의 혐의를 받는 노상원 전 국군정보사령관에게 대통령경호처가 비화폰을 지급한 과정에 개입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특검은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이 계엄 선포 전날인 12월 2일 경호처로부터 비화폰을 전달받은 뒤 이를 노 전 사령관에게 넘겼고, 해당 비화폰이 대통령과 직접 연결되는 통신망에 등록돼 있었다고 보고 있다. 당시 김성훈 전 경호처 차장이 김 전 본부장에게 전달을 지시한 정황도 확보된 상태다.
특검은 김 전 본부장을 상대로 계엄 발동 이후 윤석열 전 대통령이 군 수뇌부에 비화폰 삭제를 지시했다는 의혹에 대해서도 조사할 계획이다. 비화폰 삭제 대상에는 여인형 전 국군방첩사령관, 이진우 전 수도방위사령관, 곽종근 전 특전사령관 등이 포함돼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같은 날 소환된 김대진 총장에 대해서는 계엄 관련 혼란이 불거졌던 시점에 한예종이 학교를 폐쇄하고 학생들을 귀가시킨 조치의 배경을 묻고 있다. 당시 유인촌 전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출입 통제를 권고하는 정부 당직 총사령의 전파사항이 문체부 당직자를 통해 각 기관에 전달된 것으로 보인다”며 “한예종뿐 아니라 전통문화대학 등 문체부 산하 기관 전체에 동일한 연락이 간 것으로 안다”고 해명한 바 있다.
특검은 대통령실과 군·문화 관련 주요 인사들의 진술을 통해 계엄령 준비 및 실행 과정 전반에 청와대가 어떻게 개입했는지를 집중 추적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