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일 특검팀은 건진법사 등 국정 개입, 인사청탁 의혹과 관련해 앞서 구속된 통일교 전 세계본부장 윤모씨를, '명태균 공천개입 의혹'과 관련해선 여론조사업체 미래한국연구소 소장을 지낸 김모씨를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조사했다.
건진법사 청탁 의혹의 핵심 인물인 윤씨는 지난 2022년 4∼8월께 건진법사 전성배씨를 통해 김 여사에게 그라프(Graff)사의 고가 다이아몬드 목걸이와 샤넬 백 등을 건네며 교단 현안을 청탁한 혐의와, 2021∼2024년 통일교의 행사 지원을 요청하면서 정치권에 불법 정치자금을 전달한 혐의를 받고 있다.
또 김씨는 윤 전 대통령 부부와 친분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정치브로커 명태균씨가 설립한 여론조사 기관 미래한국연구소의 소장으로 재직한 인물로 특검팀은 김씨를 상대로 여론조사 실시 배경, 여론조사와 김영선 전 국민의힘 의원 공천 사이의 연관성을 들여다 본 것으로 알려졌다.
이 모든 의혹의 정점에 서있는 김 여사는 6일 오전 10시 서울 종로구 광화문kt 웨스트에 마련된 김건희 특검 사무실에 출석할 예정으로 알려졌다.
오정희 특검보는 김 여사가 출석해 어떻게 조사를 받는지, 몇 시간 조사가 예정돼 있는지, 어떤 질문을 할지 등 취재진의 다양한 질문에 대해서 "조사와 관련된 구체적 내용은 일일이 말씀드리기 어렵다"면서 "부장급에서 조사할 예정"이라고 답했다.
이어 윤석열 전 대통령의 내란·외환 사건을 수사중인 조은석 내란특검팀은 7일 오전 10시 우원식 국회의장을, 11일엔 조경태 국민의힘 의원을 참고인 신분으로 조사할 계획이다.
특검팀은 우 의장과 조 의원을 상태로 12·3 비상계엄이 선포된 후 국회 본회의장 표결을 통해 계엄이 해제 되는 과정에서 국민의힘 지도부 차원의 조직적인 국회 '표결 방해' 행위가 있었는지 조사할 것으로 알려졌다. 우 의장은 지난해 12월 3일 윤 전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한 뒤 국회의 비상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 의결까지 약 155분간 국회를 관리한 당사자다.
또한 채상병 사건 외압·은폐 의혹을 수사하는 이명현 순직해병특검팀은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의 '도피성 출국' 의혹을 정조준하고 있다. 특검팀은 이날 오전 경기도 과천 법무부 청사에 수사팀을 보내 전격 압수수색에 나섰다.
특검은 앞서 윤석열 정부 당시 법무부의 박성재 전 장관과 이노공 전 차관, 심우정 전 차관, 박행열 전 인사정보관리단장, 이재유 전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장 등에 대한 압수수색을 진행했다.
앞서 특검은 이들의 휴대전화와 차량을 비롯해 장관실, 차관실 등지의 압수수색을 진행했다. 아울러 현재는 해체된 인사정보관리단의 보관 자료도 확보에 나선 것으로 전해졌다.
그밖에 구속된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은 내일 예정된 특검의 출석 요구에 응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김 전 장관의 변호인단은 "김 전 장관은 해병특검으로부터 오는 6일 오전 10시 출석을 통보받았는데 변호인단은 이러한 내용을 금일 통보받았다"며 "(출석) 하루 전에 통보받은 일정으로 변호인 조력권을 행사할 수는 없는 사정이 있어 내일 출석할 수 없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