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병특검, 尹 비화폰 통신기록 확보…"2023년 7~8월 일부 연락 확인"

전하규 국방부 대변인이 5일 참고인 신분으로 조사를 받기 위해 서울 서초한샘빌딩에 위치한 순직해병특별검사팀으로 출석하고 있다 202585 사진연합뉴스
전하규 국방부 대변인이 5일 참고인 신분으로 조사를 받기 위해 서울 서초한샘빌딩에 위치한 순직해병특별검사팀으로 출석하고 있다. 2025.8.5 [사진=연합뉴스]

채상병 사건 관련 외압·은폐 의혹을 수사 중인 이명현 순직해병특검팀이 윤석열 전 대통령과 참모진이 사용한 비화폰 통신내역을 확보해 분석 중이다.

정민영 특별검사보는 5일 정례 브리핑에서 “대통령경호처로부터 윤 전 대통령,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 조태용 전 국가안보실장(현 주미대사) 등이 사용하던 비화폰 통화기록을 제출받아 분석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통화기록은 2023년 7~8월 사이에 주고받은 연락내역으로, 일부 내용은 확인됐다고 정 특검보는 전했다.

앞서 특검팀은 윤 전 대통령과 배우자 김건희 여사가 개인 휴대전화와 비화폰을 번갈아 사용한 정황을 포착한 뒤, 법원에서 압수수색영장을 발부받아 관련 자료를 순차적으로 확보해왔다. 특검은 해당 통신기록을 토대로 채상병 사건의 초동조사 결과를 뒤집는 과정에서 윤 전 대통령이 개입했는지 여부, 그리고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을 둘러싼 이른바 ‘구명 시도’에 대통령 부부가 관여했는지 등을 들여다볼 예정이다.

김 여사의 비화폰 실물도 확보된 상태다. 정 특검보는 “김 여사가 사용한 비화폰은 한 대로 파악되고 있으며, 초기화된 상태지만 이미징 포렌식을 통해 삭제된 데이터를 복구할 수 있을지 살펴볼 계획”이라며 “최근까지 사용했던 기기”라고 설명했다.

전날 특검은 이종섭 전 장관의 도피성 출국 경위와 관련해, 윤석열 정부 시절 법무부와 외교부 등 주요 부처 장·차관들에 대한 압수수색도 단행했다. 압수수색 대상에는 조태열 전 외교부 장관, 장호진 전 외교부 1차관(현 국가안보실장), 박성재 전 법무부 장관, 심우정 전 검찰총장(전 법무 차관), 이노공 전 법무 차관 등이 포함됐으며, 특검은 이들의 휴대전화를 확보했다고 밝혔다.

이날 특검은 전하규 전 국방부 대변인을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조사 중이다. 전 전 대변인은 지난해 7월 30일 해병대 수사단이 채 상병 순직 사건의 초동조사 결과를 이종섭 전 장관에게 처음 보고하는 자리에 배석했던 인물이다. 그는 이날 “당시 보고에 임성근 전 1사단장 관련 내용은 없었다”는 기존 입장을 재확인하며, “아는 만큼 소명하겠다”고 말했다.

특검은 전 전 대변인을 상대로 초동보고 당시 상황과 보고 직후 국방부 내 회의에서 이 전 장관이 내린 구체적 지시사항 등을 조사할 방침이다. 특히 이튿날인 7월 31일 대통령 주재 회의에서 윤 전 대통령이 ‘사단장을 처벌하면 누가 사단장을 하겠냐’며 격노했다는 정황이 알려진 이후, 이 전 장관이 돌연 경찰 이첩 결재를 번복한 경위에 주목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특검은 국방부 내부에서 작성된 문건의 성격과 작성 경위도 수사 대상에 올려뒀다. 해당 문건은 국방정책실 주도로 작성된 12쪽 분량의 문서로, 해병대 수사단의 조사가 미흡했고 이 전 장관의 이첩 보류 결정은 정당하다는 등의 내용이 담겼다. 하지만 작성자와 배포 경로 등이 불분명해 ‘괴문서’라는 비판이 제기돼 왔다.

이날 예정됐던 정종범 전 해병대 부사령관의 참고인 조사는 일정 조정으로 연기됐다. 정 전 부사령관은 지난해 7월 31일 언론 브리핑이 돌연 취소된 직후 이종섭 전 장관의 호출을 받고 회의에 참석, 이 전 장관의 구두 지시를 메모한 이른바 ‘정종범 메모’ 작성자다. 해당 메모에는 ‘누구누구 수사 언동하면 안 됨’ 등 외압 정황으로 해석될 수 있는 내용이 담겨 특검이 중점적으로 들여다보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