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대 특검(내란·김건희·채해병)이 모두 출범 한 달을 넘긴 가운데, 모든 의혹의 정점으로 의심되는 윤석열 전 대통령 부부 소환 조사를 향해 수사가 본격화되고 있다. 내란·외환, 주가조작, 수사 외압 등 성격이 다른 의혹을 각기 맡고 있는 세 특검은 이제 모두 윤 전 대통령 부부를 정조준하고 있다.
3일 법조계에 따르면, 김건희 여사 연루 의혹들을 수사 중인 민중기 특별검사팀이 오는 6일 김 여사를 자본시장법 위반 피의자로 소환할 예정이다. 김 여사를 피의자 신분으로 직접 조사하는 첫 사례가 된다. 지난 2일 수사 한 달째를 맞은 특검팀 수사 전반기의 최대 분기점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김건희특검팀은 4일 윤 전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 재집행도 고심하고 있다. 1일 체포영장 집행이 무산된 뒤 윤 전 대통령 측은 특검에 변호사 선임계를 제출했다. 김홍일, 배보윤 변호사가 특검에 변호인 선임계를 우편으로 발송한 것으로 전해졌다.
특검의 두 차례 소환 통보에도 계속 불응하던 윤 전 대통령이 선임계를 내면서 의견서 제출이나 소환조사 조율 등의 본격 대응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서울구치소에 수감된 윤 전 대통령은 앞선 체포영장 집행 시 속옷 차림으로 대응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검팀이 출범한 지 한 달여 만에 윤 전 대통령 부부 관련 수사가 본격화되며 수사망이 좁혀질 예정이다.
이날 수사 한 달을 맞은 이명현 특검팀은 윤 전 대통령의 격노와 이종섭 전 장관 질책, 수사 결과 이첩 보류 지시 사이의 인과관계를 규명해냈다.
순직 채해병 수사 외압 의혹의 출발점인 'VIP 격노설'의 실체를 규명하는 데 초반 수사력을 집중했고, 지난 2년간 침묵으로 일관하던 윤 전 대통령 복심들의 입을 여는 데 성공한 것이다.
다만 수사 선상에서 제외됐던 임성근 전 사단장 구명을 위한 김 여사 측 관련 로비 의혹과 기독교계가 로비 채널이 됐는지 등에 대한 핵심 증거는 아직 확보를 못한 상태다.
특검팀은 이에 윤 전 대통령 부부와 임 전 사단장의 비화폰 통신 내역 분석에 집중하며, 윤 전 대통령 소환도 염두에 두고 수사 연장의 필요성을 검토 중이다.
내란특검팀(특별검사 조은석)은 3개 특검 중 가장 빠른 6월 중순 수사에 착수해 윤 전 대통령을 다시 구속하는 등 눈에 띄는 성과를 냈다. 최측근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의 신병도 최근 확보했다.
특검팀은 입증이 쉽지 않은 외환 혐의와 함께 국회의 비상계엄 해제 의결 방해 혐의를 어떻게 밝혀내느냐가 향후 평가를 좌우할 것으로 보인다.
내란특검은 4일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에 대한 구속 후 첫 조사에 나서며, 한덕수 전 국무총리의 2차 소환 조사도 저울질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