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31일 한미 간 관세협상 타결 소식 직후 ‘경기도 특별지원대책회의’를 긴급 소집하고 도내 중소기업 피해 최소화를 위한 4대 대응책을 직접 발표했다.
김동연 지사는 이날 가평 수해복구 현장에서 자원봉사 활동 중 타결 소식을 보고받고 즉시 회의를 지시했으며, 정부의 공식 발표 7시간 만에 회의가 긴급 개최됐다. 김 지사는 복구 활동을 마친 뒤 곧바로 회의장으로 이동해 직접 대책 수립을 주도했다.
김 지사는 회의에서 “시장 개방에 따른 여파로 도내 중소기업 피해가 불가피하다”며, 기존 500억 원에 더해 500억 원을 추가로 편성해 ‘특별경영자금’을 총 1000억 원 규모로 확대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경기도는 지난 4월 전국 최초로 ‘미국산 시장개방 피해기업 특별경영자금’을 500억 원 조성해 지원한 바 있으며, 현재까지 90개 업체에 399억 원이 지원됐다. 이번 확대 조치로 도내 자동차 부품, K-뷰티, K-식품 등 수출 중소기업의 피해 완화가 기대된다. 업체당 지원 한도는 5억 원 이내다.

김 지사는 “이번 관세협상으로 화장품, 의료기기 분야도 새로운 피해군으로 부상할 가능성이 크다”며, 6대 품목 외 업종의 추가 포함을 검토하라고 지시했다.
이어 "현재 경기도는 민생회복 소비쿠폰 재원 등을 마련하기 위한 2차 감액추경을 준비 중"이라며 관세대응 예산은 감액 대상에서 제외하고, 필요 시 오히려 증액하라는 입장을 분명히 밝혔다
그러면서 “예산 구조조정이 불가피하더라도 수출 피해기업을 위한 지원은 줄여서는 안 된다”며, “국제통상 환경의 충격을 흡수하는 핵심 방어 예산”임을 강조했다.
이번 특별회의는 일회성 대응을 넘어서 ‘무역위기 대응 시즌2’ 회의체로 전환된다. 경기도는 앞으로도 2차, 3차 대책회의를 열고 추가적인 대응 방안을 수립할 예정이다.
김 지사는 “불확실성 해소가 가장 큰 성과”라며 “협상 시한 내 결과 도출, 경쟁국과의 균형 있는 합의, 농축산물 방어 성공 등을 높이 평가한다”며 협상팀을 이끈 이재명 대통령의 지도력도 언급하며, ‘실용외교·국익외교의 복원’이라는 의미를 부여했다.
끝으로 김 지사는 “여야, 보수·진보를 떠나 국익 앞에 지혜를 모아야 할 때”라며 “경기도는 국정의 제1 동반자라는 자세로 협상 이후의 국내 대응을 뒷받침하겠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