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단법인 공직공익비리신고 전국시민운동연합 목포신안지부(이하 시민운동연합)는 29일 전남지방경찰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박우량 전 신안군수를 둘러싼 각종 부패 의혹에 대한 철저하고 엄정한 수사를 촉구했다.
이날 기자회견에는 시민운동연합 회원 30여 명이 참석해 “공직자 부패는 지역사회 전체를 병들게 한다”며, 박 전 군수 재임 시절 제기된 의혹들에 대해 수사기관이 즉각적인 조사에 착수할 것을 요구했다.
시민운동연합은 “박 전 군수는 직권남용 등 혐의로 대법원 유죄 판결을 받고 군수직을 상실했음에도, 최근 일부 정치권에서 그의 사면복권을 거론하고 언론이 이를 무비판적으로 보도하는 현실에 지역민들은 분노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징역 8개월, 집행유예 2년이라는 중형을 받고도 자숙은커녕 각종 행사장을 누비며 ‘사면복권 후 재출마’ 발언까지 서슴지 않는 모습은 공직윤리를 조롱하는 행태”라고 지적했다.
市民운동연합은 이날 박 전 군수의 과거 재임 시절 벌어진 대표적인 의혹들을 조목조목 열거하며, 경찰의 신속한 수사 개시를 거듭 촉구했다.
특히 이들은 △자은 라마다 리조트 회원권 매입 관련 17억 원 혈세 낭비 의혹 △본인 및 일가의 부동산 투기·차명 소유 의혹 △특정 섬에 집중된 특혜성 개발사업 △의회 승인 없는 예산 선집행 사례 등 4가지 주요 사안을 중점적으로 제기했다.
시민운동연합 관계자는 “군이 리조트 회원권 매입 명목으로 민간 시행사에 17억 원을 지급하고 근저당까지 설정해준 행정은 상식 밖”이라며 “현재 해당 회원권은 전혀 활용되지 못한 채 군민의 혈세만 낭비됐다”고 주장했다.
또 “신안군 곳곳에서 박 전 군수 일가 및 측근에 의한 부동산 투기 정황이 드러나고 있다”며 “내부 정보 이용, 실명제 위반, 차명 매입 등 복합적인 의혹이 얽혀 있어 철저한 조사 없이는 진상이 규명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특히 비금면 노대도 사례를 언급하며 “거주 인구가 없는 섬에 수억 원대 예산이 집중되고 해저 전력선까지 설치된 배경에는, 특정 대학교수를 위한 특혜 의혹이 존재한다”고 주장했다.
시민운동연합은 “박우량 체제의 신안군 행정은 구조적인 불투명성과 비정상적인 예산 집행의 전형을 보여줬다”며 “더 이상 법과 상식을 무시한 권력형 비리가 반복돼서는 안 된다. 검찰과 경찰은 박 전 군수에 대한 엄정하고 철저한 수사를 즉각 개시하라”고 촉구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