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U+, 7000억 투입해 보이스피싱 전면 대응 나선다

LG유플러스 용산 사옥 사진LG유플러스
LG유플러스 용산 사옥 [사진=LG유플러스]



LG유플러스가 보이스피싱과 스미싱 범죄에 대응하기 위한 종합 보안 전략을 발표하고, 고객 피해 예방에 초점을 맞춘 ‘보안퍼스트(SECURITY FIRST)’ 비전을 제시했다. 

홍관희 LG유플러스 정보보안센터장(CISO/CPO, 전무)은 29일 서울 용산사옥에서 열린 보안 전략 간담회에서  “국내 어떤 기업보다 빠르게 보안 투자를 확대해 왔다”며 “앞으로도 고객이 체감할 수 있는 보안 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LG유플러스는 실제 악성 앱을 통해 스마트폰이 장악되는 과정을 공개 시연하며, 실질적 대응 역량을 강조했다. 특히 통신사 중 유일하게 보이스피싱 조직의 악성 앱 서버를 추적·분석하고 있다고 밝혔다.
 
보안 컨트롤타워 확대…5년간 7000억원 투자

LG유플러스는 지난해 7월 CEO 직속 정보보안센터를 신설한 뒤 보안 거버넌스, 예방, 대응의 3대 축을 중심으로 보안 체계를 강화해 왔다. 정보보안센터는 독립적으로 전사 정보보호를 총괄하며, 센터장은 경영위원으로서 의사결정에도 참여한다.

2024년 LG유플러스의 정보보호 분야 투자액은 약 828억원으로 전년 대비 31.1% 증가했으며, 5년간 약 7000억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정보보호 전담 인력도 지난해 157.5명에서 올해 292.9명으로 86% 증가했다.

보안 예방 측면에서는 지난해 11월부터 ‘블랙박스 모의해킹’을 장기적으로 진행 중이다. 외부 화이트해커 집단이 사전 정보 없이 자사 모든 서비스를 대상으로 실전처럼 해킹을 시도해 보안 취약점을 발굴하는 방식이다. 해당 모의해킹은 내년 상반기까지 연장된다.

보안 대응 체계는 AI 기반 관제 시스템을 중심으로 고도화되고 있다. 특히 LG유플러스는 오는 2027년까지 제로 트러스트(Zero Trust) 기반 보안 모델을 완성할 계획이다. SaaS, 개방형 클라우드 환경에 맞춘 단계별 로드맵을 수립해, 이상 행위 탐지 및 접근 통제를 자동화할 방침이다.
 
“고객 여정 전반에 보안 배치”…스미싱·보이스피싱 대응 전면 강화

LG유플러스는 고객이 서비스를 이용하는 전 과정에 보안 체계를 적용한 보이스피싱·스미싱 대응 풀패키지를 공개했다. 고객피해방지 분석시스템을 통해 24시간 스팸문자·악성 URL을 차단하고, 악성 앱 설치 여부를 탐지한다.

특히 악성 앱 서버 추적 기술을 바탕으로 고객 스마트폰 감염 여부를 확인하고, 위협이 감지되면 네트워크 망 차단은 물론 카카오톡 알림톡을 통해 즉각적인 경고 메시지를 발송하고 있다. 지난 한 달간 약 3000명에게 알림톡이 발송됐다.

이날 공개된 시연에 따르면, 악성 앱이 설치된 스마트폰은 전화 수신·발신이 조작되며, 범죄자가 피해자 대신 전화를 받거나 통화를 조작할 수 있다. 심지어 피해자 몰래 카메라를 실행하거나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것도 가능하다.

LG유플러스는 AI 기반 시스템을 통해 악성 URL이 포함된 스팸문자 차단량을 5개월 만에 1.4배 늘렸고, AI 통화 에이전트 ‘익시오’를 통해 월 2000건 이상의 보이스피싱 의심 전화를 감지하고 있다. 딥보이스 사기 대응을 위한 ‘안티딥보이스’ 기능도 적용 중이다.

향후에는 실제 범죄 조직의 통화 패턴을 AI에 학습시켜 피해 우려가 큰 고객을 실시간으로 식별하고, 경찰과 연계해 즉각 보호 조치를 제공할 계획이다.
 
“혼자만으론 어렵다”…민관 협력 협의체 제안
​​​​​​​
LG유플러스는 보안 역량 강화와 함께 민관 협력 강화를 제안했다. 이날 간담회에서 LG유플러스는 정부 및 경찰, 통신업계가 함께하는 민관 정보보안 협의체 구성을 제안하며, 사회적 문제로 번지고 있는 민생사기 근절에 공동 대응하자고 밝혔다.

현재 LG유플러스는 서울경찰청과 공조체계를 통해 피해 예상 고객을 동행 방문하고, 현장에서 악성 앱을 탐지하는 실질적 조치에 나서고 있다. 또 경찰청과는 보이스피싱 예방 캠페인을, 과기정통부·방통위·개인정보위·국과수 등과는 다양한 보안 협업을 이어가고 있다.

홍관희 전무는 “악성 앱은 단순한 기술 문제가 아니라 국민 생명과 직결된 민생 사기 범죄”라며 “민간 기업 혼자 해결할 수 없으며, 사회 전체가 함께 대응해야 할 문제”라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