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 '끼임 사고' SPC 찾아 "나도 산재 피해자…안전한 사회 만들어야"

  • "비용 때문에 안전과 생명 희생...정말 바꿔야"

  • SPC삼립 "사업장 중대사고 발생 통렬한 반성"

이재명 대통령이 25일 경기 시흥시 SPC 삼립 시화공장에서 열린 산업재해 근절 현장 노사간담회에서 SPC 삼립 직원의 발언을 듣고 있다 이 대통령 왼쪽은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사진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이 25일 경기 시흥시 SPC 삼립 시화공장에서 열린 산업재해 근절 현장 노사간담회에서 SPC 삼립 직원의 발언을 듣고 있다. 이 대통령 왼쪽은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사진=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이 25일 근로자가 기계에 끼여 사망한 사고가 발생한 SPC삼립시화공장을 찾아 “저도 노동자 출신이고, 산업재해 피해자이기도 하다. 수십 년 세월이 지났음에도 여전히 노동 현장에서 죽어가는 노동자들이 너무 많다”며 “죽지 않는 사회, 일터가 행복한 사회, 안전한 사회를 꼭 만들어야겠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오전 경기 시흥시 SPC삼립시화공장에서 중대산업재해 발생 사업장 현장 간담회에 참석해 “떨어져서, 깔려서, 끼여서 죽는 산업재해가 불가피하게 우발적으로 발생한다고 하면 이해가 된다. 그런데 똑같은 현장에서 똑같은 방식으로 똑같은 사고가 반복되는 것은 문제가 있다. 예측할 수 있고, 방지도 할 수 있다는 것이다”라고 지적했다.

이날 간담회는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 문진영 사회수석,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을 비롯해 허영인 SPC그룹 회장, 김범수 SPC삼립 대표이사 등이 참석했다.

이 대통령은 “(산업재해의) 원인 중 하나는 예방을 위한 비용과 사고가 났을 때의 대가가 균형이 맞지 않기 때문이다. 개별 사건마다 원인을 분석해 봐야겠지만 비용 때문에 안전과 생명을 희생하는 것이라면 그건 정말로 바꿔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대한민국이 세계 10대 경제 강국이라고 하고, 소위 국민소득이 4만 달러에 가까운 선진국이라는데, 노동 현장만큼은 그렇게 선진국같이 보이지 않는다”며 “OECD 국가 중에 최고를 자랑하는 산업재해 사망률을 줄이기 위한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방안에 단초를 마련해 보면 좋겠다”고 말했다.

또 “새정부는 각종 사유로 너무 많은 사람들이 죽어가는 대한민국의 현실을 근본적으로 바꿔보겠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며 “행복한 사회는 못 될지라도 불행 때문에 스스로 목숨을 끊는 일은 최소화해야 되지 않겠나 그런 생각을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어 이 대통령은 간담회에서 심야 장시간 노동 등 노동자들의 전반적인 근무 환경을 점검하고, 안전을 위한 설비와 시스템 관리가 중요하다고도 강조했다. 

이에 김 SPC삼립 대표이사는 끼임 사고가 반복해 발생한 것에 대해 “사업장에서 중대사고가 발생한 점은 저희가 많이 부족하고 추가적으로 개선하며 혁신해야 될 방향이 있다고 생각한다”면서 “죄송스럽고 통렬한 반성을 하고 있다”고 고개를 숙였다.

그러면서 그는 안전한 사업장을 만들기 위한 혁신 방향으로 ▲안전 경영 거버넌스 강화 ▲안전 중심 생산체계 구축 ▲산업안전 인프라 및 안전투자 강화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