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철도공사(코레일)는 올해 상반기 KTX와 일반열차 승객이 7200만명을 돌파하며 역대 최대 수송량을 경신했다고 23일 밝혔다.
승객이 가장 많은 날은 어린이날 황금연휴가 시작된 5월 3일 54만명, 4일 53만명이었다. 이용객이 많은 역은 서울역(11만8000명), 동대구역(5만2000명), 대전역(5만1000명) 등 KTX 정차역이다.
지난해보다 이용객이 가장 많이 늘어난 역은 중앙선과 동해선 신규 개통의 영향을 함께 받은 부전역이다. 하루 3000명이 타고내려 2024년 대비 2.2배 늘었다. 중부내륙선 연장개통 이후 판교역은 1.6배 늘었다. 감곡장호원역은 인근 대학교와 협의해 하루 5회(왕복) 셔틀버스를 운행한 이후 승객이 1.4배 증가했다.
가장 많이 이용한 구간은 서울↔부산으로 모두 369만명이 승차했다. 이어 서울↔대전이 256만명이 승차해 2위를 기록했다.
지난해 말 개통한 6개 노선에서도 모두 250만명을 수송했다고 설명했다. 노선별로는 △동해선(강릉~부전, 강릉~동대구) 99만2000명 △중앙선(청량리~부전) 98만7000명 △중부내륙선(판교~문경) 29만명 △서해축(서해선, 포승-평택선) 12만명 △교외선 10만명 △대경선(구미~경산) 253만명 등이다.
철도 서비스 개선도 수송량을 늘리는 데 도움이 됐다. 지난해 12월 다시 문을 연 광명역 도심공항터미널은 올해 상반기에만 2만명, 하루 평균 111명이 도심공항터미널에서 출국수속을 밟았다. 광명역 도심공항터미널을 이용하면 탑승수속과 수하물 위탁까지 한 번에 가능하고 인천공항에서 도심 공항 승객 전용 출입문을 통해 빠르게 출국심사를 받을 수 있다.
지난 2022년부터 시작한 철도역 짐 배송 서비스도 호응을 얻고 있다. 기존에는 역에서 현장 접수하거나 운영업체 홈페이지에서만 예약할 수 있었으나 지난해 6월부터 모바일앱 ‘코레일톡’에서도 ‘코레일형 MaaS’의 일환으로 함께 서비스하고 있다.
코레일 관계자는 "철도망이 더욱 촘촘해질수록 지방에 새로운 활력이 돌고 있다"며 "국민이 더 안전하고 편리하게 철도를 이용할 수 있도록 철도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