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소 직원입니다"…서울시 '공무원 사칭 사기 주의보' 발령

  • 대리납품 유도 후 '입금 요구'

서울시청 청사 사진서울시
서울시청 청사 [사진=서울시]


# 서울 소재 A업체는 최근 심장제세동기 16대를 납품해 달라는 요청을 받았다. 주문자는 서울시 ○○구 보건소 소속 오△△ 주무관이라고 자신을 소개하고 견적서와 함께 특정 B업체에서 대리납품하라고 요청했다. B업체는 프로모션비까지 제공하겠다며 대리납품을 유도했다. 수상함을 느낀 A업체가 해당 보건소로 오△△ 주무관을 찾아 문의하니 ‘납품을 요청한 사실이 없다’는 답이 돌아왔다.

전국적으로 지방자치단체·공공기관을 사칭한 사기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 서울시는 이 같은 사기 수법이 서울시와 자치구 부서, 보건소 등을 대상으로 최소 9건 이상 발생한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22일 ‘공무원 사칭 피해주의보’를 발령했다.

서울에서 발생한 공무원 사칭 사례 9건 중 2건은 실제 금전적 피해가 발생했다. 나머지 7건은 미수에 그쳤다.

사기는 피해 업체에서 취급하지 않거나 즉시 발주가 곤란한 물품에 대해 제3 업체에서 대리납품할 것을 유도한 후 납품대금을 계좌이체하도록 유도하는 식으로 이뤄진다. 공무원이 발주한 것처럼 보이도록 위조한 명함, 발주서 등을 사용해 정상적인 거래처럼 꾸미기도 한다.


피해는 청주시, 안양시, 의정부시, 화성시, 양양군, 광명시, 횡성군 등 전국 지자체는 물론 경기소방, 충북소방, 강원소방 등 공공기관으로 확산 중이다.

시는 공무원 사칭 사기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공무원 사칭 사기 4대 피해예방수칙’을 마련하고 서울시 누리집과 중소기업중앙회, 소상공인연합회 등 유관기관을 통해 집중 홍보에 나설 계획이다. 아울러 사기 수법 고도화에 대응하기 위해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관계기관과 공조해 시민 대상 홍보활동을 벌일 예정이다.

김명선 시 공정경제과장은 “이번 실태조사를 통해 서울시에도 공무원을 사칭한 대리납품 피해가 실제 발생한 것이 확인됐으며 중소기업·소상공인을 대상으로 한 공무원 사칭 사기 시도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며 “물품구매 대행이나 선입금 요구 등 조금이라도 의심스러운 연락을 받으면 거래를 즉시 중단하고 서울시 공식 채널을 통해 진위를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