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주광역시가 시내버스 준공영제를 혁신할 방침이어서 결과가 주목된다.
광주시는 21일 시청에서 ‘대중교통 혁신회의’를 처음 열고 운영방식과 분과별 역할 등을 논의했다.
'대중교통 혁신회의'는 광주시와 시의회, 노동조합, 운송조합, 전문가 등 20명 정도로 구성된 교통 분야 협의체다.
이날 회의에는 강기정 시장과 광주시의회 의원, 버스운송조합과 노동조합 관계자, 교통·재정·노동 분야 전문가 등 18명이 참석했다.
노사 상생 분과는 시내버스 노사 간 임금과 단체협약 사항, 운수종사자 처우 개선 등 노동환경 개선에 집중한다.
재정혁신 분과는 준공영제 개선 방향, 운송원가 절감, 대중교통 요금 조정 등 재정 건전성 방안을 다룬다.
노선혁신 분과는 단계별 노선 조정 등 시민 편의를, 버스행정 분과는 시내버스 서비스 품질과 안전 관련 정책을 논의하게 된다.
회의에 참석한 박필순 광주시의회 산업건설위원장은 "타 시도는 시내버스 준공영제 개선을 위해 사전정산제, 목표관리제 등의 방안을 제도적으로 수용하고 있다"며 "광주시도 적극 검토하길 바란다"고 제안했다.
임동춘 광주버스운송조합 이사장은 "도시철도 2호선 공사 후 도로 복구 시점에 맞춰 버스전용차로제를 과감하게 도입하자"고 말했다.
박상복 광주버스노동조합 위원장은 "적자구조 해소를 위해서는 수송 분담률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노조는 재정난으로 준공영제를 운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면서 10년 동안 묶여있는 버스요금을 인상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달부터 분과별 회의를 열고 각 분과에서 논의한 내용을 전체 회의에서 재논의하고 '광주시 버스정책심의위원회' 심의를 거쳐 최종 정책에 반영할 방침이다.
올해 말까지 준공영제 개선 방안, 버스요금 인상안을 도출해 내년부터 시행할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