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보건의료노조)이 보건복지부와의 실무 협의를 거쳐 24일로 예고했던 총파업 계획을 철회했다.
21일 복지부에 따르면 보건의료노조는 지난 17일부터 공공의료 강화와 의료인력 확충 등 보건의료 주요 현안과 관련 실무협의를 이어왔다.
노조는 협의 내용을 바탕으로 임시대의원회의를 열어 논의한 끝에 산별 총파업을 철회하고, 사업장별 임금·단체협약 교섭 타결에 집중하기로 했다.
앞서 보건의료노조는 올해 임단협 타결에 실패한 전국 127개 의료기관에 대해 지난 8일 동시에 쟁의조정을 신청했으며, 사업장별 쟁의 행위 찬반투표에서 92.1%의 찬성률도 총파업을 가결한 바 있다.
복지부와 노조는 '9·2 노정합의'가 새 정부의 정책방향과 부합된다는 점을 확인하며 직종별 인력기준 마련 및 제도화 등 미이행 과제의 이행을 위한 협의를 지속하기로 했다.
9·2 노정합의는 2021년 9월 정부와 보건의료노조가 감염병 대응체계 구축, 공공의료 인프라 확충, 보건의료인력 처우 개선 등에서 이룬 합의를 가리킨다.
정부와 노조는 공공의료 강화와 의료현장 문제 개선을 위한 협의를 지속하는 한편 9·2 노정합의 정신에 기초한 새로운 노정간 대화 모델을 마련하고, 보건의료 분야 주요 정책결정 거버넌스에 노조 참여도 확대하기로 했다.
또 의정갈등의 해결과 조속한 의료 정상화, 올바른 의료개혁 추진을 위해 함께 노력하는 것은 물론 공공병원의 임금체불 문제, 대법원 통상임금 판결에 따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도 공동으로 노력하기로 했다.
21일 복지부에 따르면 보건의료노조는 지난 17일부터 공공의료 강화와 의료인력 확충 등 보건의료 주요 현안과 관련 실무협의를 이어왔다.
노조는 협의 내용을 바탕으로 임시대의원회의를 열어 논의한 끝에 산별 총파업을 철회하고, 사업장별 임금·단체협약 교섭 타결에 집중하기로 했다.
앞서 보건의료노조는 올해 임단협 타결에 실패한 전국 127개 의료기관에 대해 지난 8일 동시에 쟁의조정을 신청했으며, 사업장별 쟁의 행위 찬반투표에서 92.1%의 찬성률도 총파업을 가결한 바 있다.
9·2 노정합의는 2021년 9월 정부와 보건의료노조가 감염병 대응체계 구축, 공공의료 인프라 확충, 보건의료인력 처우 개선 등에서 이룬 합의를 가리킨다.
정부와 노조는 공공의료 강화와 의료현장 문제 개선을 위한 협의를 지속하는 한편 9·2 노정합의 정신에 기초한 새로운 노정간 대화 모델을 마련하고, 보건의료 분야 주요 정책결정 거버넌스에 노조 참여도 확대하기로 했다.
또 의정갈등의 해결과 조속한 의료 정상화, 올바른 의료개혁 추진을 위해 함께 노력하는 것은 물론 공공병원의 임금체불 문제, 대법원 통상임금 판결에 따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도 공동으로 노력하기로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