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건희 여사 관련 각종 의혹을 수사하는 민중기 특별검사팀에 소환된 삼부토건 전·현직 회장들이 김 여사 등과의 관계를 전면 부인했다.
11일 법조계에 따르면 이일준 삼부토건 회장은 전날 서울 종로구 KT광화문빌딩 웨스트에 마련된 특검 사무실에서 조서 열람을 포함한 약 16시간의 피의자 조사를 받고 늦은 밤 귀가했다.
이 회장은 조사 후 취재진들에게 "(특검팀이) 다 물어보고 했는데, (김 여사·이종호 전 블랙펄인베스트 대표는) 맹세코 모르는 사람"이라며 "이거 잘못하면 해프닝으로 끝날 수 있다. 아까 보니까 그럴 가능성이 크다"고 주장했다.
이 회장보다 1시간 30분 정도 일찍 조사를 마친 조성옥 전 회장도 취재진에 김 여사나 이종호 전 대표를 알지 못한다고 주장했다.
조 전 회장은 특검팀 조사에서 김 여사, 이종호 전 대표와 연관성을 강하게 부인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회장과 조 전 회장은 삼부토건 주가조작 의혹에 연루된 최고위 주요 인사다.
수사 개시 이틀 만인 지난 2일 우크라이나 사업을 총괄한 이응근 전 삼부토건 대표를 소환한 특검팀은 오일록 현 대표 등 당시 실무 담당자들을 상대로 재건 사업의 실체를 규명하는데 집중했다.
주가 조작의 수익을 챙긴 자가 누구인지, 김 여사가 어떻게 관여했는지 등을 확인하는 것이 핵심이다.
삼부토건 측은 2023년 5월 폴란드에서 열린 우크라이나 재건 포럼을 계기로 현지 지방자치단체와 각종 업무협약을 맺었다. 이들은 재건 사업을 추진할 것처럼 투자자를 속여 주가를 띄운 후 보유 주식을 매도해 부당이익을 취득한 혐의를 받는다.
윤석열 전 대통령과 김 여사는 해당 포럼 2개월 뒤 우크라이나를 방문, 블로디미르 젤렌스키 대통령과 재건 사업을 논의했고 삼부 주가는 날개를 달았다.
이런 의혹은 이종호 전 대표가 삼부토건 주가 급등 전 메신저 단체 대화방에 '삼부 내일 체크'라는 메시지를 남긴 사실이 알려지면서 수면 위로 떠올랐다.
이 전 대표는 라임 사태로 징역형을 선고 받아 복역 중인 조성옥 전 회장의 아들이 서울구치소에 더 머물 수 있도록 로비했다는 의혹도 받는다.
이로 인해 조 전 회장이 이 전 대표를 매개로 김 여사와 모종의 관계를 형성한 게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됐으나, 조 전 회장은 일면식도 없다는 입장인 것이다.
이 회장과 조 전 회장은 우크라이나 재건 포럼에 참석해 삼부의 주가 급등 계기를 마련한 인물로 꼽힌 원희룡 전 국토교통부 장관도 알지 못한다고 주장 중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댓글1
0 / 300
-
arc**** 2025-07-11 10:23:07이것들은 주둥이만 열면 구라구만... 걸리면 다 뒤지는거여? 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