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8일(현지시간) 워싱턴DC 백악관에서 열린 내각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로이터·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반도체 등 한국 주력 수출품을 겨냥한 추가 관세를 예고하면서 금융시장 불확실성이 다시 고조되고 있다. 관세 여진이 미국 수입 감소와 한국 교역가격 변동성으로 이어질 경우 국내 소비자물가를 끌어올릴 수 있다는 지적이다.
9일 외신 등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8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8월 1일 이후 관세 유예가 없다고 밝히면서, 이르면 이달 말부터 반도체 등에 품목별 추가 관세가 부과될 것을 예고했다. 전날 한국에 25%의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는 서한을 보낸 데 이어 품목별 관세 카드를 꺼내들면서 압박 수위를 높이는 모습이다.
금융시장 변동성도 커지고 있다. 원·달러 환율은 지난 8일 1367.9원에 주간거래를 마치면서 충격이 덜한 모습이었지만, 이날은 하루새 7.1원 오른 1375.0원에 마감하면서 관세 우려가 가시화되고 있다.
이날 미 국채 금리는 일제히 상승했다. 10년물 국채 금리는 이날 전장보다 2.2bp(1bp=0.01%포인트) 오른 4.417%를 기록했고, 장중 4.435%까지 치솟으며 지난 6월 20일 이후 최고치를 나타냈다.
관세 서한 발송 이후 일시적으로 완화됐던 불확실성이 미국의 추가 압박으로 다시 고조되는 분위기다.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부과를 검토 중인 품목에는 반도체, 구리, 의약품 등이 포함된다. 모두 한국의 주요 수출 품목인 만큼 관세가 현실화될 경우 가격 경쟁력 약화와 대미 수출 차질이 동시에 우려된다.
특히 관세 인상 전후로 미국의 재고 확보 수요가 몰렸다가 급격히 꺾이는 흐름이 한국의 교역 가격에도 파급될 가능성이 높다. 박상현 iM증권 연구원은 "미국의 수입증가율은 지난 3월 32.3%(전년동월 대비)였지만 5월에는 0.6%로 둔화됐는데, 이러한 추세라면 3분기 중 수입이 감소세를 보일 가능성이 있다"며 "수입증가율이 관세발 영향에 가장 민감할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감소 여부를 주시할 필요가 크다"고 설명했다.
향후 한국 물가 지표에도 관세 영향이 서서히 반영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국 기업들이 미국으로 수출 못한 물량을 국내로 돌리면 국내 공급과잉이 나타날 수 있지만 고정비 부담으로 국내 소비자에게 비용을 전가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기업들이 수출 부진에 따라 생산량을 줄이거나 재고를 국내로 돌릴 가능성이 있다는 얘기다. 이 경우 내수 시장에 과잉 공급이 발생하고, 가격 불안정이나 유통업계 부담으로 이어질 수 있다.
박 연구원은 "기대인플레이션은 안정세를 보이고 있지만 이전에 확보한 재고가 소진되면서 관세 부담이 소매가격에 반영될 수 있다"며 "7~8월 소비자물가 등 각종 물가지표 흐름을 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9일 외신 등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8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8월 1일 이후 관세 유예가 없다고 밝히면서, 이르면 이달 말부터 반도체 등에 품목별 추가 관세가 부과될 것을 예고했다. 전날 한국에 25%의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는 서한을 보낸 데 이어 품목별 관세 카드를 꺼내들면서 압박 수위를 높이는 모습이다.
금융시장 변동성도 커지고 있다. 원·달러 환율은 지난 8일 1367.9원에 주간거래를 마치면서 충격이 덜한 모습이었지만, 이날은 하루새 7.1원 오른 1375.0원에 마감하면서 관세 우려가 가시화되고 있다.
이날 미 국채 금리는 일제히 상승했다. 10년물 국채 금리는 이날 전장보다 2.2bp(1bp=0.01%포인트) 오른 4.417%를 기록했고, 장중 4.435%까지 치솟으며 지난 6월 20일 이후 최고치를 나타냈다.
특히 관세 인상 전후로 미국의 재고 확보 수요가 몰렸다가 급격히 꺾이는 흐름이 한국의 교역 가격에도 파급될 가능성이 높다. 박상현 iM증권 연구원은 "미국의 수입증가율은 지난 3월 32.3%(전년동월 대비)였지만 5월에는 0.6%로 둔화됐는데, 이러한 추세라면 3분기 중 수입이 감소세를 보일 가능성이 있다"며 "수입증가율이 관세발 영향에 가장 민감할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감소 여부를 주시할 필요가 크다"고 설명했다.
향후 한국 물가 지표에도 관세 영향이 서서히 반영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국 기업들이 미국으로 수출 못한 물량을 국내로 돌리면 국내 공급과잉이 나타날 수 있지만 고정비 부담으로 국내 소비자에게 비용을 전가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기업들이 수출 부진에 따라 생산량을 줄이거나 재고를 국내로 돌릴 가능성이 있다는 얘기다. 이 경우 내수 시장에 과잉 공급이 발생하고, 가격 불안정이나 유통업계 부담으로 이어질 수 있다.
박 연구원은 "기대인플레이션은 안정세를 보이고 있지만 이전에 확보한 재고가 소진되면서 관세 부담이 소매가격에 반영될 수 있다"며 "7~8월 소비자물가 등 각종 물가지표 흐름을 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