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 "한·미 관세 협상 기한 얻어…최악 상황은 면해"

  • 美 25% 상호관세 부과 통보에…관계 부처 긴급 대책 회의

  • "조속한 협의 중요하지만 국익 관철이 더욱 중요한 가치"

강유정 대변인이 4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임명장 수여식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강유정 대변인이 4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임명장 수여식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대통령실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7일(현지시간) 이재명 대통령에게 상호관세 25%를 부과한다는 내용의 서한을 보낸 것과 관련해 김용범 정책실장 주재로 관계부처 대책회의를 개최하고 대미 통상 현안을 점검했다. 

김 실장은 이날 오후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대미 통상 현안 관계 부처 대책회의를 주재하고 미국의 관세 조치 현황과 대응 계획을 논의했다. 

이날 회의에는 윤창렬 국무조정실장, 하준경 경제성장수석, 오현주 국가안보실 3차장, 이형일 기획재정부 1차관, 김진아 외교부 2차관, 문신학 산업통상자원부 1차관 등이 참석했다.

김 실장은 회의에서 “한미 통상장관·안보실장 협의,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등 양·다자회의 계기에 양국 간 호혜적 결과 도출을 위해 최선을 다했지만 다양한 이슈들을 포괄해 최종 합의까지 도달하기에는 시간이 부족했다”면서 “조속한 협의도 중요하지만 국익을 관철하는 것이 더욱 중요한 가치”라고 말했다.

또 그는 관세율 인상까지 약 한 달의 시간이 남은 것을 강조하면서 “대응 시간을 확보한 만큼 국익을 최우선으로 미국과의 협상에 만전을 기해달라”고 당부했다.

그러면서 김 실장은 시장 반응을 살펴보며, 수출을 비롯한 경제 상황 점검은 물론 자동차·철강 등 관세와 관련된 업종에 지원과 수출 대책을 보강할 것을 주문했다. 

아울러 김 실장은 오는 9일 미국에서 귀국할 것으로 알려진 위성락 국가안보실장과 정책실·국가안보실 간 공동회의를 개최하고 한·미 통상 문제 대응책 마련에 협의하기로 했다.

한편 대통령실은 관세 부과 시점이 오는 9일에서 다음 달 1일로 유예된 것을 긍정적인 신호로 받아들이며 남은 기간 협상에 전념하겠다는 입장이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기자들과 만나 “8월까지 협상 기한을 얻었다는 것에 의미를 두고 있다. 일본과 말레이시아 등은 (기존 대비) 1% 관세가 올랐지만 새정부 출범 후 시간이 촉박했음에도 (우리는) 최악의 상황은 면한 것으로 본다”며 “나은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협상에 임하고 있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