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호이의 사람들③] "달을 향해 쏴라, 빗나가도 별이 될 테니" – 전진소녀 이아진의 고백

사진 체인지업북스
[사진= 체인지업북스]


‘14살 유학, 18살 자퇴, 22살 대학 입학.’ 틀에 맞춰 살아가는 것이 당연하다고 여겨지는 세상에서, 이아진은 그 어떤 길도 ‘자신만의 속도’로 선택해왔다. 그리고 그 모든 과정은 결국 ‘전진’이라는 단어로 귀결된다.
 

그는 ‘전진소녀’라는 이름으로 유튜브 채널을 운영하고, 목수로 현장에서 일하며, 건축을 전공하는 학생이자 두 권의 책을 펴낸 작가로도 살아가고 있다. 삶의 무게를 감정과 기록으로 나누는 그가 두 번째 책 『나는 어떤 사람이 되고 싶었을까』를 통해 들려주는 이야기는, 단지 누군가의 자전적 에피소드에 머물지 않는다. 오히려 “지금 당장 어디로 가야 할지 모르겠다”는 수많은 청춘들에게 건네는 현실적이고도 따뜻한 조언집에 가깝다.

“이 책은 제가 살아온 이야기이자, 독자들이 필요할 때 쏙쏙 꺼내볼 수 있는 레시피 같은 책이었으면 좋겠어요. 특히 진로나 인간관계, 자아에 대해 고민하는 청소년들과, 각자의 꿈을 향해 걸어가고 있는 분들에게요.”

사진 체인지업북스
[사진= 체인지업북스]


“내가 필요한 곳에 있을 때, 가장 행복했습니다”

현장에서 직접 나무를 재단하고, 땀을 흘려 벽을 세우며 그는 스스로에 대해 더 많이 알아갔다. “디테일보다 큰 틀을 보고 조정하는 걸 좋아한다”는 자신의 성향을 자각하고, 건축이라는 복합적인 세계에 더 깊이 빠져들었다. “미관도, 설비도, 단열도 모두 나의 정성과 관심을 필요로 할 때, 나라는 사람이 쓸모 있는 존재가 된다고 느꼈어요. 그게 참 행복했죠.”

건축가는 꿈이다. 하지만 단순히 직업으로서의 건축가가 아닌, “사람을 위한 공간을 짓고, 사람을 웃게 하는 예술가”로서의 건축가다. 그 과정에서 그는 ‘직업은 수단’이라는 생각을 잊지 않는다. 목수, 유튜버, 작가 등 다양한 역할을 감당해내며 그는 오늘도 자신이 가장 사랑하는 작업—“건축”에 가장 많은 우선순위를 둔다.

사진 체인지업북스
[사진= 체인지업북스]


“현실이 꿈을 막진 않아요. 그저 우회로가 생길 뿐이죠”

책 『아이엠 I AM』에서 그는 꿈과 현실 사이의 균형에 대해 언급한 바 있다. 현실이 꿈을 꺾지는 않는다는 것이 그의 신념이다. “때로는 재정적 여건이나 인간관계의 변수로 꿈을 우회할 때도 있죠. 그렇다고 그걸 ‘좌절’이라 말하고 싶진 않아요. 덩굴도, 늪도 결국 지나면 성장의 흔적이 되거든요.”

그가 설계 수업에서 받은 피드백에 눈물을 흘렸다는 이야기도 인상 깊다. “이제 진짜 배울 수 있겠구나, 나도 조금씩 성장해나가는 거구나… 그게 너무 벅찼어요.”

사진 체인지업북스
[사진= 체인지업북스]

“관성처럼 나아가는 삶, 그게 결국 나를 지키는 힘이었어요”

성별과 나이, 경력이라는 사회의 편견 앞에서 무너지지 않을 수 있었던 힘은 무엇일까. 그는 “한두 번 나만의 길을 가는 연습”이 관성을 만들었다고 말한다. “처음엔 꺾이고 좌절도 해요. 근데 계속 시도하면 나중엔 멈춰도 다시 나아가게 되는 거죠.”

그렇다고 늘 강한 건 아니었다. “꿈을 찾겠다고 학교를 나왔는데, 나만 제자리인 것 같고, 내가 돌멩이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닐까봐 무서웠어요.” 그런 시간들을 지나오며 그는, 외려 응원해준 사람들—부모님, 현장의 사수들, 그리고 온라인을 통해 만난 구독자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

 
사진 체인지업북스
[사진= 체인지업북스]


“호기심은 사랑의 씨앗이에요. 그게 꿈이 되죠”

이아진은 청춘들에게 ‘작은 호기심’을 씨앗 삼으라고 말한다. “사람들은 꽃을 안 가진 자신을 탓하지만, 처음부터 꽃이 아니라 씨앗부터 시작해요. 관심을 주고 물을 주고, 자꾸 들여다보면 싹이 나고 결국 그게 꿈이 돼요.”

그는 자신을 ‘Dreamer’라 부른다. 몽상가 같다고 말하면서도, 터무니없어 보일지라도 계속 꿈을 꾸고 싶다고 덧붙인다. “달을 향해 쏴라. 빗나가도 별이 될 테니”라는 문장을 인용하며 그는 말한다. “그 꿈을 향해 뛰는 나 자신을 믿어요. 설령 도착하지 못하더라도, 그 과정이 분명히 의미 있을 거니까요.”


“나는 원석이었다는 걸, 알아주는 것부터 시작해요”

마지막으로 그는 스스로 어떤 사람인지 끊임없이 고민하는 사람들에게 이렇게 말한다. “내가 원석이란 걸 알아야 가공할 수 있어요. 돌멩이라고만 생각하면, 갈아볼 생각조차 못 하죠. 나 자신을 믿는 데엔 돈이 드는 것도 아니니까요. 한 번쯤은 ‘있는 그대로의 나’에게 귀 기울여보세요.”

조용하지만 강하게, 차분하지만 단단하게. 전진소녀 이아진은 말한다.
“나는 어떤 사람이 되고 싶었을까—그 질문을 놓지 않고 살아가는 사람이 되고 싶어요.”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