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상반기 풍력 1250MW·태양광 1000MW 경쟁입찰…안보요소 강화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정부가 1250MW와 1000MW 규모의 풍력·태양광 경쟁입찰에 나선다. 지난해 8월 발표한 '해상풍력 경쟁입찰 로드맵'과 올해 3월 발표한 '공공주도형 해상풍력 입찰 추진방안'에 따라 공급망과 안보요소를 강화한 경쟁입찰이 시행되는 것이 특징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한국에너지공단 신재생에너지센터가 이러한 내용을 담은 '2025년 상반기 풍력·태양광 설비 고정가격계약 경쟁입찰'을 공고했다고 26일 밝혔다.

우선 풍력 경쟁입찰 공고 물량은 로드맵에서 제시한 입찰물량 수준과 입찰수요를 반영해 1250MW 내외의 고정식 해상풍력이 대상이다. 이 가운데 올해 최초로 신설된 공공주도형 입찰시장 물량은 500MW 내외, 일반형 입찰시장 물량은 750MW 내외다. 올해부터 연 2회 풍력 경쟁입찰이 진행되는 만큼 부유식 해상풍력과 육상풍력은 하반기 공고한다.

이번 입찰부터 사업자 선정 평가지표에 안보 관련 요소(공공주도형 8점, 일반 6점)가 반영돼 발전시설·에너지 공급과정의 안보 요소를 살펴본다. 상한가격은 글로벌 균등화발전비용(LCOE) 추세와 해외사례 등을 고려해 지난해와 동일하게 17만6565원/MWh으로 유지했다. 다만 공공주도형 사업에는 우대가격을 부여하고 정부 연구개발(R&D) 실증 풍력시스템 성과물을 활용할 경우 추가 우대가격을 부여한다.

태양광 경쟁입찰은 1000MW 이내로 선정한다. 상한가격은 최근 입찰 경쟁률, REC 현물시장과의 가격 격차, LCOE 추세 등을 고려하여 지난해(15만7307원/MWh) 대비 하향 조정한 15만5742원/MWh으로 설정했다.

또 제조 과정에서 탄소를 적게 배출하는 저탄소 태양광 모듈 사용을 촉진하기 위해 우대가격은 지난해와 동일하게 유지했다. 다만 제품 기술개발 추세를 고려해 최소 우대가격을 받는 탄소배출 수준을 지난해 670kg·CO2/kW에서 655kg·CO2/kW로 강화한다.

RE100 수요기업의 재생에너지 구매 수요를 고려해 지난해 시범 도입한 자발적 민간시장 활성화를 위한 전력구매계약(PPA) 중개시장은 지속 운영한다. 이를 통해 경쟁입찰에 선정된 발전소를 대상 RE100 수요기업과의 매칭기회를 제공한다. 

지난해 RE100 수요기업 등 의견을 받아 올해는 계약대상 용량을 완화하고 다수 수요기업과의 계약이 가능하게 할 방침이다. 계약기간은 20년 이내에서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충분한 계약 협의를 위해 협약기한을 연장해 제도적 유연성을 반영된다.

자세한 입찰사항은 한국에너지공단 신재생에너지센터 홈페이지에 게시된 공고문을 참조하면 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