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산시, 전국최초 스마트축산단지&가축분뇨 에너지화시설 접목한 선도모델 구축

  • 시, 공동자원화시설(에너지화) 공모 선정, 240억 확보

  • 악취 문제 해결과 에너지 자립형 축산단지 '두마리 토끼'잡아

공동자원화시설조감도사진논산시
공동자원화시설조감도[사진=논산시]

충남 논산시가 농림축산식품부의 ‘공동자원화시설(에너지화)공모 사업’에 최종 선정되며 악취 저감과 친환경 에너지 전환을 동시에 해결하는 ‘스마트 축산의 선도모델’을 구축하게 됐다.
 
이번 사업은 논산시 광석면 일대에 추진 중인 ‘청정 스마트 축산단지 조성사업(2024~2028)’과 연계하여 가축분뇨를 바이오가스로 전환하고, 이를 전기 및 열에너지로 활용하는 자원순환형 친환경 에너지화 시설을 조성하는 것이 핵심이다.
 
지난 30여 년 간 지역의 난제로 손꼽혔던 광석면 양돈단지 악취문제를 근본적 해결하고자 추진 중인‘스마트 축산단지’조성사업은 기존 노후 축산시설의 구조적 한계를 극복하고, ICT기술 기반의 축산환경 관리체계를 도입해 상시 모니터링과 신속한 분뇨 수거가 가능하도록 할 예정이다.
 
신청 당시 지침상 요건에 부합하지 않아 사업 추진이 불가능하였으나 논산시가 사업의 필요성과 당위성, 시민들의 염원을 지속적으로 건의한 끝에 관련 지침을 개정하게 만들었고, 그 결과 지난해 공모에 최종 선정되었다.
 
오는 2028년까지 총 678억 원의 사업비를 투입해 탄소중립형 청정 축산단지로 거듭날 전망이다. 축산 악취로 인한 민원을 획기적으로 줄이는 것은 물론 쾌적한 주거환경 조성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이번 공동자원화(에너지화)공모사업 선정으로 총사업비 244억(국비 122억)을 확보하였으며 광석양돈단지에서 발생하는 가축분뇨 및 음식물류 폐수 처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바이오가스를 활용해 전기를 생산하고, 열에너지를 농업에 재활용함으로써 에너지 절감과 자원 순환 구조를 실현하는 친환경 시스템이 완성된다.
 
지난 해 ‘스마트축산단지 공모사업’선정에 이어 ‘공동자원화시설(에너지화)공모사업’까지 연이어 선정됨에 따라 논산시는 축산 악취 해소와 에너지 전환이라는 두 가지 과제를 동시에 해결하며, 지자체 주도의 지속가능한 축산정책의 모범사례를 제시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시 관계자는 “이번 사업은 에너지 자립형 친환경 농업 기반을 마련하고, 논산시 축산업의 지속 가능성을 제고하는 전환점”이라며 “앞으로도 시민의 삶의 질 향상과 지역 농업의 미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