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6·3 대선을 향한 공식 선거운동 첫날인 12일 서울 광화문에서 출정식을 갖고 선거전에 본격 돌입했다. 이 후보는 이후 경기 성남시 판교, 화성시 동탄, 대전광역시 등으로 이동해 유세를 이어가며 미래 산업과 국민통합 메시지를 동시에 띄웠다.
이날 오전 광화문 출정식에서 이 후보는 윤석열 전 대통령의 파면에 이르게 된 탄핵심판 과정을 언급하며 이번 선거의 성격을 규정했다. “이번 대선은 민주당과 국민의힘의 대결이 아닌, 내란으로 나라를 송두리째 무너뜨리고 헌정질서와 민생을 파괴한 거대 기득권과의 일전”이라며, “이 싸움은 과거를 묻고 끝내자는 것이 아니라, 다시는 그런 일이 반복되지 않도록 제도적 장치를 만드는 것”이라고 밝혔다.
광화문을 ‘빛의 혁명’ 상징으로 삼은 이 후보는 이 자리에서 “우리는 더는 무너질 수 없다. 두 번 다시 내란의 어둠이 대한민국을 덮치지 않도록 반드시 승리하겠다”며 내란 종식과 민주주의 회복을 강조했다.
이 후보는 출정식 이후 곧바로 판교로 이동해 현장 유세에 나섰다. 판교는 이 후보가 성남시장으로 재직하며 직접 관할했던 지역이자, IT·스타트업 기업이 밀집한 지역으로, 혁신 성장 이미지를 부각시키기에 적합한 지역으로 꼽힌다.
판교 테크노밸리 인근 스터디룸에서는 IT 개발자들을 만나 간담회를 진행했다. 이 자리에서 이 후보는 “스타트업을 키워야 한다.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고, 창의성이 보장되는 생태계를 만들어야 한다”며 스타트업과 사회적 기업 지원 의지를 밝혔다. 이어 “돈을 버는 것은 자본주의적 사고라고 하면서, 사회적기업을 빨갱이로 몰아세우는 건 낡은 이념”이라고 지적했다. “정작 사회적기업기본법은 이명박 전 대통령이 입법한 것”이라며 “그럼 이 전 대통령도 빨갱이냐”고 반문했다.
이후 화성시 동탄으로 이동한 이 후보는 센트럴파크 광장에서 유세를 이어갔다. 그는 “제 인생에서 가장 행복했던 시기는 성남시장 때였다”며 “혈연도 지연도 학연도 없던 이재명을 키워준 곳이 경기도”라고 지역 연고를 강조했다. 이어 “지난 대선에서 패배하고 여의도에 갔더니 참혹한 살육전이 벌어졌다. 하지만 민주당이 수권정당으로 국민 평가를 받았다는 것만으로도 보람 있었다”고 자평했다.
청중을 향해 “민생과 경제를 챙길 유능한 후보, 충직한 국민의 일꾼이 누구인가”라고 물은 뒤, ‘이재명’이라는 이름이 돌아오자 “그렇게 생각하신다면, 이번에는 저를 대통령실로 보내달라”고 지지를 호소했다.
유세 현장에서는 ‘세계 1위 반도체 강국 도약’이라 적힌 대형 웨이퍼 모형에 직접 서명하고 들어 보이기도 했다. 반도체 산업 경쟁력 강화를 주요 공약 중 하나로 내세운 이 후보의 상징적 퍼포먼스였다.
대전으로 이동한 이 후보는 대덕연구단지가 상징하는 과학기술과 충청권 정서를 모두 겨냥했다. “비 온 뒤에 땅이 굳는다는 말이 있다. 윤석열 정권의 지난 3년이 대한민국 재도약의 토대가 될 것”이라며 “6월 3일이 새로운 출발의 시작”이라고 말했다. 이어 “저는 충청도의 사위다. 장인의 고향이 충청이다. 대전과 충청은 정치적·지리적 중심지로, 이곳이 선택한 사람이 대통령이 된다. 미래를 위해 이재명을 선택해달라”고 호소했다.
이 후보는 이날 하루 ‘판교–동탄–대전’으로 이어지는 이른바 ‘K-이니셔티브 벨트’ 순회로 선거운동 첫날 메시지를 미래 산업과 지역 균형 발전, 국민 통합에 맞췄다. 이 지역들은 각각 IT, 반도체, 과학기술 중심지로 분류되며, 전통적 민주당 강세 지역과 확장 가능 지역이 혼재돼 있어 초반 유세의 전략적 포석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한편 최근 이 후보에 대한 신변 위협 제보가 잇따르면서 민주당은 유세 현장 보안에 각별히 신경 쓰는 모습이다. 이날 이 후보는 방탄복 위에 선거 운동용 점퍼를 착용하고 무대에 섰다. 당 지지자들 사이에서는 유세장에 방탄 유리나 저격 방지용 장비를 설치해야 한다는 요구도 제기된 것으로 전해졌다.
김민석 상임공동선대위원장은 이날 유튜브 방송에 출연해 “미국에서도 트럼프 후보가 유세에 방탄유리를 사용한 사례가 있다”며 “이 후보에 대한 위협 가능성에 대비해 여러 안전 장비를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