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K텔레콤(SKT)이 실물 유심(USIM) 교체 없이 복제를 차단할 수 있는 ‘유심 재설정’ 솔루션을 도입한다. 금융인증서, 티머니 등 주요 기능 관련 재설정을 하지 않아도 보안 강화가 가능하다. 기존 방식서 발생했던 고객 불편이 크게 줄어들 것으로 기대된다.
류정환 SKT 네트워크인프라 센터장은 11일 서울 중구 삼화타워서 열린 일일브리핑에서 "고객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유심 재설정이라는 솔루션을 만들었다"며 "12일부터 대리점에서 유심 재설정 솔루션을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SKT 유심 재설정은 기존 유심에 있던 일부 정보를 소프트웨어를 활용해 새로운 정보로 변경하는 방식이다. 이 정보가 변경되면 기존 유출된 유심 정보를 누군가 확보해 복제를 시도해도 시스템 접속이 차단된다. 사실상 유심 교체와 동등한 효과를 가진 것이다.
편의성은 크게 개선된다. 류 센터장은 "기존에는 새로운 유심을 휴대전화에 끼우다 보니 고객들이 이용하던 금융 인증기관 서비스 관련 재인증을 받아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며 “해당 솔루션으론 삼성 페이를 제외한 다른 금융기관 서비스는 모두 기존과 동일하게 이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SKT는 해당 방식이 유심 관련 업무 효율성을 높여줄 것으로 보고 있다. 고객들은 별도 예약 없이 대리점에서 이용할 수 있다. 전과 같이 유심 교체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임봉호 SKT 이동통신(MNO) 사업부장은 "기존 예약한 이들에게 유심 재설정 안내를 하고 매장 방문시 실물 유심 교체와 기존 유심 재설정 중 하나를 선택하게 할 것"이라며 "만약 유심 재설정을 선택한 고객이 향후 유심 교체를 원하면 1회 무료로 제공받을 수 있다"고 부연했다.
SKT는 향후 유심 교체에도 속도가 붙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SKT에 따르면 지난 10일 기준 유심 교체 고객은 143만명이다. 유심 교체 대기 고객은 722만명 정도다.
임 사업부장은 “오는 18일까지 유심이 117만 정도 들어올 계획이고, 4주차, 5주차에는 각각 171만개, 173만개를 확보할 예정”이라며 “6월에는 577만개가 입고된다”고 설명했다.
지난 8일 과학기술방송통신위원회 청문회서 약속했던 고객신뢰회복위원회를 조속히 설치하겠다는 입장도 밝혔다. 김희섭 SKT 홍보(PR)센터장은 "투명하게 고객 의견을 더 듣는다는 의미에서 외부 인사를 섭외해 위원회를 꾸릴 예정”이라며 “1~2주 정도면 구성되지 않을까 싶다”고 말했다. 위원 구성을 마치는 대로 발표할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