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생태원, 서울어린이대공원에'쥐라기정원'조성

  • 쥐라기 시대 원시림 재현한 체험형 생태공간... 도심 속에서 만나는 300㎡ 규모 공룡 숲

  • 양치식물 200여 개체로 꾸민 시간여행 정원... 5월 5일부터 18일까지 어린이정원 페스티벌 참여

국립생태원-서울어린이대공원 쥐라기 정원 조성 모습사진국립생태원
국립생태원-서울어린이대공원 쥐라기 정원 조성 모습[사진=국립생태원]

국립생태원은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서울어린이대공원에서 열리는 ‘2025 서울어린이정원 페스티벌’에 참여해 고대 원시림을 현대적으로 재현한 체험형 생태정원 ‘쥐라기 정원’을 선보이고 있다.
 
이번 정원은 ‘정원은 마법사’라는 축제 주제에 맞춰 쥐라기 시대의 신비로운 자연을 어린이 눈높이에 맞춰 재구성했다. 어린이들이 직접 걷고, 보고, 만지며 생태 감수성과 상상력을 키울 수 있도록 설계됐다.
 
약 300㎡ 규모로 조성된 ‘쥐라기 정원’은 쥐라기 시대에 존재했던 중대형 양치식물(고사리류) 200여 개체와 선태식물(이끼류) 등을 활용해 수 억년 전 고대 숲의 분위기를 생생하게 재현했다.
 
식물의 생육 특성과 시각적 흐름에 따라 공간을 구성해 방문객들이 각 구간을 탐험하듯 돌아보며 자연과 교감하는 경험을 제공한다.
 
특히 아이들의 호기심을 자극하기 위해 공룡알, 고사목 등 다양한 포토존과 탐험 요소를 곳곳에 배치했다. 쓰러진 고목을 형상화한 대형 고사목은 쥐라기 숲의 모습을 재현함과 동시에 숲 생태계의 순환 메시지를 담아 교육적 의미를 더했다.
 
정원 곳곳에는 쥐라기 식물과 공룡 생태의 연관성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해설판을 설치해 어린이와 보호자 모두가 생태 지식을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도록 했다.
 
국립생태원은 이번 정원 조성을 통해 도심 속 생태문화 콘텐츠를 확산시키고, 서울어린이대공원과의 협력을 통해 ‘찾아가는 생태정원’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이창석 국립생태원장은 “쥐라기 정원은 공룡의 시대처럼 오래된 식물들과 함께 자연의 이야기를 배우고 체험할 수 있는 특별한 공간”이라며, “앞으로도 다양한 기관과 협력해 도시 속 생태 감수성을 기를 수 있는 기회를 확산시켜 나가겠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