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날 행사에는 대학 관계자와 지역 주요 인사 등 50여 명이 참석해 이차전지 특성화를 위한 새로운 도약을 함께 기념했다.
이차전지는 반도체, 바이오와 함께 국가 첨단 전략산업으로 지정되어 정부의 집중적인 지원이 이뤄지고 있는 분야다. 특히 경상북도는 2019년 국내 최초로 ‘배터리 리사이클링 규제자유특구’로 지정된 데 이어, 2020년에는 ‘이차전지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로 포항이 지정되며 관련 산업 생태계가 급속히 확대되고 있다.
여기에 더해 2024년 6월에는 포항, 상주, 구미 산업단지가 ‘기회발전특구’로 지정되며 이차전지 소재 산업의 거점으로서 경북의 위상이 더욱 강화되고 있다.
이번에 개소한 BITC는 CRC동 2층에 연면적 272m² 규모로 조성됐으며, 이차전지 제조를 위한 드라이룸과 배터리 소재·부품 분석 장비, 성능 평가 장비, 첨단 강의실 등을 갖추고 있다. 센터는 이차전지 소재·부품의 특성 및 성능 평가, 셀·모듈·팩 단위의 화재 안전 신뢰성 평가, 기업 맞춤형 기술 컨설팅, 분석 피드백을 통한 제품 개발 고도화 지원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개소식에서는 참석자들이 기술센터 내부와 연구 장비를 둘러보는 시간을 가지며 연구 환경에 대한 이해를 높였다.
김재홍 이차전지 특성화대학 추진단장(화학공학부 교수)은 “이번 기술센터 구축을 통해 상용 및 차세대 배터리의 소재·부품부터 셀, 모듈, 팩에 이르는 전 주기 연구 인프라를 집적화했다”며 “배터리 전 주기 기술 개발과 사업화를 맞춤형으로 지원함으로써 영남대가 이차전지 첨단기술의 거점 대학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