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30일 더불어민주당 제21대 대통령선거 '진짜 대한민국' 중앙선거대책위원회 출범식에서 엄지를 들어 보이며 미소 짓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이 21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진영과 이념, 계파를 초월한 통합형 선거대책위원회를 출범했다. '보수 책사'로 불린 윤여준 전 환경부 장관이 박찬대 당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와 총괄공동상임선대위원장을 맡고, 선대위원장만 총 22명이다. 후보 직속위원회 15개, 선대위 산하위원회만 7개로 구성됐다. 인수위원회 없이 출범하는 새 정부의 정책을 검토하고 집행하는 역할을 맡겨본다는 게 이재명 후보의 설명이다.
이재명 민주당 대선 후보는 30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진짜 대한민국' 중앙선대위 출범식에서 "퇴행과 파괴를 막고 희망과 미래를 향하게 할 유일한 동력은 바로 국민 통합"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 후보는 "민생을 최우선으로 한 정책을 제시하고, 철저한 현장 중심 선거, '원팀'으로 온 힘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매머드급' 선대위를 꾸린 이유로 국민 통합을 들었다. 김윤덕 사무총장은 "제일 역점에 둔 건 국민 통합이고, 이 후보와 좋은 인연을 맺은 분들 중에서 정말 국민통합을 제대로 실현할 수 있는 분들을 모셨다"고 설명했다.
총괄선대위원장은 7명, 공동선대위원장은 15명이다. 박 직무대행과 윤 전 장관이 총괄상임선대위원장, 강금실 전 법무부 장관, 정은경 전 질병관리청장, 김동명 한국노총위원장, 김부겸 전 국무총리, 김경수 전 경남지사다. 공동상임선대위원장은 김민석 수석최고위원과 이석연 전 법제처장이다. 전현희·한준호·김병주·이언주·송순호·홍성국 최고위원, 추미애·박지원·조정식·정동영 의원, 김영춘·우상호 전 의원 등이 공동선대위원장이다.
후보 직속 위원회도 15개(국민대통합·K문화강국·기본사회·모두의나라·지방분권혁신위원회 등), 선대위 직속 위원회도 7개(먹사니즘·잘사니즘·꿈사니즘·빛의혁명 위원회, 빛의혁명·민생살리기·원내대책본부)나 꾸려졌다.
이 후보는 출범식이 끝나고 기자들과 만나 후보 직속위원회가 여러 개인 점을 두고 "후보 직속위원회는 후보가 관심갖는 사안을 강조하는 의미도 있고, 그 문제를 천착하고 관심가질 인력도 필요하다"며 "인수위 없이 정부가 출범하기 때문에 즉각적으로 집행할 수 있는 집행 계획도 마련하는 일을 맡겨볼 생각"이라고 전했다.
무엇보다 이 후보는 이번 선거를 현장 중심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김 수석최고위원도 "경청하며 현장에 올인하자는 것이 후보 방침"이라며 "실무본부장 외에는 여의도에 남아 있지 않을 것"이라 설명했다. 이 후보도 선대위가 이번 선거를 '경청 캠페인'으로 치르겠다는 것에 "국민의 목소리를 듣고 정책으로 만들어 국정에 반영하자는 것이 바로 '경청 캠페인'"이라며 "국민의 목소리를 듣고 정책으로 반영하자는 취지"라고 부연했다.
이재명 민주당 대선 후보는 30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진짜 대한민국' 중앙선대위 출범식에서 "퇴행과 파괴를 막고 희망과 미래를 향하게 할 유일한 동력은 바로 국민 통합"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 후보는 "민생을 최우선으로 한 정책을 제시하고, 철저한 현장 중심 선거, '원팀'으로 온 힘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매머드급' 선대위를 꾸린 이유로 국민 통합을 들었다. 김윤덕 사무총장은 "제일 역점에 둔 건 국민 통합이고, 이 후보와 좋은 인연을 맺은 분들 중에서 정말 국민통합을 제대로 실현할 수 있는 분들을 모셨다"고 설명했다.
총괄선대위원장은 7명, 공동선대위원장은 15명이다. 박 직무대행과 윤 전 장관이 총괄상임선대위원장, 강금실 전 법무부 장관, 정은경 전 질병관리청장, 김동명 한국노총위원장, 김부겸 전 국무총리, 김경수 전 경남지사다. 공동상임선대위원장은 김민석 수석최고위원과 이석연 전 법제처장이다. 전현희·한준호·김병주·이언주·송순호·홍성국 최고위원, 추미애·박지원·조정식·정동영 의원, 김영춘·우상호 전 의원 등이 공동선대위원장이다.
이 후보는 출범식이 끝나고 기자들과 만나 후보 직속위원회가 여러 개인 점을 두고 "후보 직속위원회는 후보가 관심갖는 사안을 강조하는 의미도 있고, 그 문제를 천착하고 관심가질 인력도 필요하다"며 "인수위 없이 정부가 출범하기 때문에 즉각적으로 집행할 수 있는 집행 계획도 마련하는 일을 맡겨볼 생각"이라고 전했다.
무엇보다 이 후보는 이번 선거를 현장 중심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김 수석최고위원도 "경청하며 현장에 올인하자는 것이 후보 방침"이라며 "실무본부장 외에는 여의도에 남아 있지 않을 것"이라 설명했다. 이 후보도 선대위가 이번 선거를 '경청 캠페인'으로 치르겠다는 것에 "국민의 목소리를 듣고 정책으로 만들어 국정에 반영하자는 것이 바로 '경청 캠페인'"이라며 "국민의 목소리를 듣고 정책으로 반영하자는 취지"라고 부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