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총재는 이날 서울 서대문구 연세대학교 백주년기념관에서 열린 제7회 글로벌지속가능발전포럼(GEEF 2025)에서 "과거 민주주의가 덜 발달되고 경제발전이 모든 것을 우선할 때는 강력한 리더가 나라 정책을 위해 어떠한 그룹을 희생시키기도 하며 발전을 꾀했다"며 "그러나 선진국이 되면 서로 간 이해를 조율하는 것이 가장 큰 고민"이라고 말했다.
이 총재는 저출산·고령화나 높은 자살률과 같은 우리 사회의 구조적인 문제들에 대해 "각자 자기 직업만을 최고로 보호하려 하기 때문에 일어나는 일이며 우리가 스스로 발목을 잡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나라의 발전을 위해서 "서로 다른 이해 관계를 조율하는 역할을 하는 건 관료보다는 정치의 역할"이라며 "조율하는 프로세스가 있으면 앞으로 나아갈 수 있는데 정치가 이걸 증폭시키는 쪽으로 가면 나라가 어려워진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이 총재는 "현재 한국 사회가 직면한 다양한 문제는 복합적으로 얽혀 있어 단일한 해결책이 있다고 할 수 없다"며 "다만 과거 경제 성장기에 유효했던 생산자 중심 정책에서 벗어나 소비자 관점에서 정책을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그는 "대학 입시에서 학생들이 평생 전공을 결정해 대학 입시를 보는 것은 비효율적"이라며 "그러나 모든 것이 생산자인 교수진의 이해관계 때문에 개혁하는 것이 어렵다"고 지적했다. 이어 "농업 정책 역시 산업을 보호하는 입장에서 벗어나 소비자 선택권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