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당근에서 흥정하고 지하철역에서 거래한다."
지역생활 커뮤니티 당근이 11일 이용자들의 ‘거래 희망 장소’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지하철역 인근에서 거래 비중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당근은 전국 이웃들이 중고거래로 가장 많이 연결된 장소 15곳을 11일 공개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11월부터 지난달까지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다. 조사 결과 당근 이용자들은 지역과 연령대를 불문하고 생활권 내 공공장소를 선호했다.
특히 유동인구가 많아 안전하고 이동이 편리한 지하철역을 선택한 비율이 3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어 △2위 아파트(24%) △3위 편의점(10%) △4위 학교 △5위 마트 △6위 공원 등이 상위권에 랭크됐다.
연령대와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인기 거래 장소 순위도 달랐다. 10대는 학교, 도서관 등의 비중이 높았고 등·하교 시 이용하는 버스 정류장도 순위에 올랐다.
대학생이나 사회초년생이 많은 20대는 이동이 잦은 만큼 지하철역에서 거래가 활발했다. 전 연령층 중에서 ‘대학교’를 선호하는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나기도 했다.
30대 이상은 아파트, 지하철 등 전체 연령층에서 선호하는 장소 외에도 연령대별 특징과 주거지 인근 지역을 찾는 경향이 뚜렷했다. 30대는 관공서나 우체국을, 4050세대는 교회, 병원, 은행, 약국 등에 대한 선호도가 타 연령층 대비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
김결 당근 중고거래실 리더는 “순위에 오른 장소들은 모두 동네에서 쉽게 볼 수 있고 이웃 주민이라면 누구나 알 법한 장소”라며 “오랜 시간 이용자 캠페인을 통해 전파해온 결과 공공장소에서의 거래 문화가 완전히 정착됐다. 앞으로도 이용자들이 더욱 안전하고 편리한 환경에서 직거래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