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추진협의체 실무위원회에는 지자체, 병원, 대학, 협회, 연구기관 등 바이오산업 관련 기관 21개 관계자가 참여한다.
실무위원회 참여 기관은 △(지자체)수원시, 경기도△(병원)아주대의료원 △(대학) 경기대 융합과학대학, 아주대 약학대학, 성균관대 공과대학 △(협회) 한국바이오협회 △(기업) CJ제일제당, SD바이오센서, 덴티움, 제노스, 혁신기업 4개 사 △(투자사) 데일리파트너스, 삼호그린인베스트먼트(수원새빛펀드) △(연구기관)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바이오산업본부, 차세대융합기술 연구원, 수원시정연구원 △(협력기관)수원컨벤션센터 등이다.
협의체는 정기회의, 컨퍼런스 등을 통해 네트워크를 강화하고 △기업 유치 △학·협회, 전시·박람회 유치 등을 지원할 예정이다.

오는 10월 19일에 자문위원회 출범식을 개최할 예정이다.
이날 첫 회의는 △수원광교 바이오클러스터 조성 사업 및 추진협의체 운영 안내 △2024 광교 바이오주간(Bio week) 사업설명 △바이오클러스터 조성 특화연구 착수보고 △질의응답·토론 등으로 진행됐다.
이재준 수원특례시장은 “올해 4월 수원광교 바이오클러스터 조성을 발표한 후, 7개월 만에 ‘광교 바이오이노베이션 밸리 추진협의체’가 성공적으로 첫발을 내딛게 됐다”며 “수원시의 미래를 책임질 이 사업에 전방위적인 행정지원을 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새빛펀드부터 기업 지원책은 물론, 도시인프라까지 더 꼼꼼히 신경 쓰겠다”고 약속했다.
한편, 수원시는 지난 4월 ‘수원광교 바이오클러스터 조성’ 추진계획을 발표하고 5월에는 관계기관 전문가들로 구성된 워킹그룹을 총 3회 개최해 바이오클러스터의 핵심 가치와 추진 방향을 도출한 바 있다.
◆ 망포1동 행정복지센터 신설 첫삽

기공식에는 이재준 수원특례시장을 비롯해 이재식 수원특례시의회 부의장, 김용덕 영통구청장, 시의원, 지역주민 등 150여명이 참석했다.
이재준 수원특례시장은 “망포 2동은 기존 태장동 행정복지센터를 그대로 쓰기에 큰 문제가 없었지만, 망포 1동은 3만여명의 주민들이 이용하시기엔 부족한 임시청사였다”며 “주민들이 오랜 기간 염원해 온 만큼 주민의견들도 반영해 완공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일정대로 차질없이 안전하게 지어질 수 있도록 만전을 기하겠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댓글2
0 / 300
-
mac**** 2023-10-12 00:13:18서울대(점쇠가 세운 마당쇠). 그 뒤 새로생긴 일제강점기 초급대 출신대나 기타의 비신분제 대학들.
-
mac**** 2023-10-12 00:12:53국사 성균관(성균관대)나라. 조선.대한제국 유일무이 최고 교육기관 성균관의 정통승계로, 6백년 넘는 역사를 국내외에서 인정받고 있는 한국 최고(最古,最高)대학. Royal 성균관대. 세계사의 교황반영, 교황윤허 서강대는 국제관습법상 성대다음 Royal대 예우. 두 대학만 일류.명문대임. 해방후 조선성명 복구령으로, 유교국가 조선의 한문성명.본관등록이 의무인, 행정법.관습법상 유교나라 한국. 5,000만 한국인뒤 주권없는 패전국 불교 Monkey 일본의 성씨없는 점쇠(일본에서는 천황). 그뒤 한국에 주권.학벌없는 경성제대 후신 서울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