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국감] '가계부채 급증' 질타에 김주현 발끈···"전 정권서 이미 높았다"

김주현 금융위원장이 11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20231011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김주현 금융위원장이 11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2023.10.11[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김주현 금융위원장이 11일 가계부채 급증 책임이 금융당국에 있다는 지적에 대해 전 정부서 이미 높은 가계부채 상황을 넘겨받았다고 반박했다.

오기형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이날 서울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김주현 금융위원장을 향해 가계부채 관리가 미흡하다고 지적했다.

오 의원은 "고금리 장기화가 우려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경제부총리와 한국은행 총재, 금융위원장, 금감원장 등 이른바 'F4' 수장이 바라보는 시각과 대응이 맞는지 묻고 싶다"면서 "한은이나 외부 전망기관에서 디레버리징 없이 가계부채가 계속 증가해 거시경제와 금융안정을 저해할 수 있다고 지적한다. 긴 흐름에서 국가 성장 모멘텀이나 양극화, 취약계층 보호 측면에서도 부채의 질적 구조 개선에서 손을 놓고 있는 게 아닌가 우려스럽다"고 지적했다.

김 위원장은 이에 대해 "가계부채 문제와 관련해 누구를 탓하고 싶지는 않다"면서도 "하지만 이미 이미 윤석열 정부 출범 당시 가계부채는 국내총생산(GDP) 대비 105%가 넘는 상태로 넘겨 받았다"고 대응했다.

그러면서 한국은행의 통화정책을 지적하고 나섰다. 김 위원장은 "외부적으로 고금리까지 겹치니 어려운 상황"이라면서 "경기도 받치면서 어려운 사람도 돕고, 부동산 연착륙도 고려하다보니 (금융당국 정책이) 맞지 않다고 지적할 수 있다. 하지만 한은은 물가와 환율, 외화시장의 안정을 위해 금리를 조정하는데, 서민들의 어려운 상황을 고민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김 위원장은 "가계부채에서 중요한 것은 상환 능력인데, 국가 규모가 크면 부채 규모도 클 수밖에 없다"면서 "무조건 부채만 늘어나지 않게 목표한다면 이는 쉽게 해결할 수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부채가 늘어나는 과정에서도 취약계층에 대한 보호는 계속 이뤄져야 한다는 게 국제기구의 지적"이라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