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사진=AP·연합뉴스]
당초 12일(현지시간) 예정됐던 조 바이든 대통령과 미 의회 지도부 간의 부채 한도 협상 관련 2차 회동이 내주 초로 연기됐다고 NBC가 이날 관련 소식통들을 인용해 보도했다.
앞서 바이든 대통령과 케빈 매카시 하원의장(공화당), 척 슈머 상원 원내대표(민주당) 등 상·하원 지도부 의원 4명은 9일 1차 회동을 가졌으나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이에 양 측은 협상 타결을 위해 노력할 것을 약속하며 12일 2차 회동을 갖기로 했었다.
한 백악관 관리는 "실무진들이 관련 작업을 지속하고 있다"며 "주요 참석자들은 내주 초 만나기로 합의했다"고 말했다.
매카시 하원의장 역시 모든 참석자들이 회동 연기에 동의했다며, 이는 회동이 결렬되고 있다는 신호로 오인돼서는 안된다고 강조했다. 그는 "우리는 다시 만날 것"이라고 언급했다.
한 소식통 역시 회동이 연기된 것은 긍정적 시그널이라고 전했다. 그는 "이것(회동 연기)은 긍정적 진전"이라며 "회동은 진전되고 있다. 실무진들이 미팅을 계속하고 있다. 다만 (12일은) 참석자들을 다시 불러 모으기에 적절한 시간이 아니다"고 설명했다.
또 다른 소식통은 실무진들 사이에 생산적 대화가 있었다며, 의회 지도부 역시 실무진들에게 며칠 더 여유를 주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라는 판단을 했다고 전했다.
보도에 따르면 일부 공화당 의원들은 이번 회동 연기는 백악관이 방침을 변경할 가능성이 있다는 희망 섞인 추측을 제시하기도 했다.
부채 한도 인상의 대가로 지출 삭감을 요구하고 있는 매카시 하원의장은 1차 회동 당시에는 '아무런 새로운 움직임'도 없었다며, "이번 회동에서 모두는 자신들의 입장만 되풀이했다"고 말한 바 있다.
반면 바이든 대통령은 무조건적인 부채 한도 인상을 요구하고 있는 상태이다. 바이든 대통령은 부채 한도 협상이 차질을 빚으면서 내주 19일 일본에서 시작되는 주요 7개국(G7) 정상회담 불참 가능성까지도 고려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재닛 옐런 미 재무장관은 빠르면 내달 중 디폴트(채무 불이행) 사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며 연일 부채 한도 인상 타결을 촉구하고 있다. 그러면서 만일 협상 결렬 시 디폴트가 발생하면서 재앙적 사태가 있을 것이라는 경고를 내놓았다.
앞서 바이든 대통령과 케빈 매카시 하원의장(공화당), 척 슈머 상원 원내대표(민주당) 등 상·하원 지도부 의원 4명은 9일 1차 회동을 가졌으나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이에 양 측은 협상 타결을 위해 노력할 것을 약속하며 12일 2차 회동을 갖기로 했었다.
한 백악관 관리는 "실무진들이 관련 작업을 지속하고 있다"며 "주요 참석자들은 내주 초 만나기로 합의했다"고 말했다.
매카시 하원의장 역시 모든 참석자들이 회동 연기에 동의했다며, 이는 회동이 결렬되고 있다는 신호로 오인돼서는 안된다고 강조했다. 그는 "우리는 다시 만날 것"이라고 언급했다.
또 다른 소식통은 실무진들 사이에 생산적 대화가 있었다며, 의회 지도부 역시 실무진들에게 며칠 더 여유를 주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라는 판단을 했다고 전했다.
보도에 따르면 일부 공화당 의원들은 이번 회동 연기는 백악관이 방침을 변경할 가능성이 있다는 희망 섞인 추측을 제시하기도 했다.
부채 한도 인상의 대가로 지출 삭감을 요구하고 있는 매카시 하원의장은 1차 회동 당시에는 '아무런 새로운 움직임'도 없었다며, "이번 회동에서 모두는 자신들의 입장만 되풀이했다"고 말한 바 있다.
반면 바이든 대통령은 무조건적인 부채 한도 인상을 요구하고 있는 상태이다. 바이든 대통령은 부채 한도 협상이 차질을 빚으면서 내주 19일 일본에서 시작되는 주요 7개국(G7) 정상회담 불참 가능성까지도 고려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재닛 옐런 미 재무장관은 빠르면 내달 중 디폴트(채무 불이행) 사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며 연일 부채 한도 인상 타결을 촉구하고 있다. 그러면서 만일 협상 결렬 시 디폴트가 발생하면서 재앙적 사태가 있을 것이라는 경고를 내놓았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