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은 업무보고·계획 발표를 통해 올해 금융지주 지배구조 개선 방안을 적극 모색하고 있다. 이복현 금감원장은 이날 감독당국과 은행 이사회 간 소통 정례화를 추진하게 된 배경에 대해 "국제협력개발기구(OECD) 등 국제기구에서도 감독당국과 이사회 간 소통이 필요하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며 "이를 좀 더 제도화하고 정례화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번 지배구조 개편은 금융지주사 현직 CEO가 이사회 기능을 약화시키고, '황제·셀프 연임'을 자행하는 행태를 끊어내겠다는 데 방점이 찍혀 있다.
이에 발맞춰 올해 대거 교체 시기를 맞는 금융지주 사외이사 인선에 정부와 금융당국 입김이 작용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그동안 현 CEO 임기 내에 구성된 사외이사진이 금융지주 회장의 '거수기' 역할을 한다는 지적이 있었고 이 같은 비정상적인 지배구조를 개선하기 위해 금융당국이 영향력을 행사할 것이라는 전망에 힘이 실리고 있다.
금융권 사외이사는 통상 재임기간을 넘어서지 않는다면 임기가 이어지곤 했다. 하지만 금융당국이 올해 지배구조 개선을 화두로 꺼내든 만큼 임기가 만료되는 사외이사에는 변화가 있을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다. 또 6년 이상 재직한 사외이사는 상법 시행령에 따라 임기를 연장할 수 없는데 임기 만료를 앞둔 사외이사들 가운데 반드시 새로운 사외이사를 선임해야 하는 사례도 있다.
업계에서 주목하고 있는 새로운 인물들은 금융 전문성을 갖춘 인사 중 현 정부의 대선캠프, 자문단,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출신들이다. 과거 김지완 전 BNK금융 회장 임기 당시 BNK금융은 문재인 정부와 깊은 인연을 토대로 사외이사 6명 중 5명을 전 정부 인사로 채운 바 있다. 금융권 내에서도 업계를 향한 금융당국의 압력이 확대되고 있는 만큼 정부와 원만한 관계를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다.
단 사외이사들이 친정부 인사로 대거 등판하면 경영 지원을 넘어 사실상 당국의 영향력 아래에 놓일 수밖에 없다는 지적도 나온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사외이사 임명은 곧 주주들 권한인데 주주들에게 얼마나 입김을 넣을 수 있을지가 관건"이라면서 "금융지주는 주주가 주인인 회사지만 당국이 주주를 움직이는 상황에선 (당국의 개입을) 막을 방도가 없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