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민생특사경 의학수사팀, 사무장병원 등 불법 의료행위 9건 적발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수원)강대웅·송인호 기자
입력 2022-06-30 13:08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요양급여 630억 편취한 요양병원, 면허대여약국 등 불법행위 단속

30일 오전 경기도청 브리핑룸에서 김민경 경기도 민생특별사법경찰단장이 의약분야 불법행위 수사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사진=경기도]

경기도 민생특사경은 30일 허위 서류로 요양병원을 개설한 뒤 횡령을 일삼으며 630억원에 달하는 요양급여를 타낸 속칭 ‘사무장병원’과 의사 가운을 입고 수술에 직접 참여한 의료기기판매업자 등 9건을 적발, 의료법 위반 혐의 등으로 형사입건해 검찰에 송치했다고 밝혔다.

김민경 도 민생특사경 단장은 이날 기자회견을 열고 “2021년 3월 도민의 건강과 생명을 위협하는 불법 개설 의료기관 근절을 위해 의약수사팀을 신설했다”며 “1년여 만에 의약분야 불법행위 9건을 형사입건하고 이 가운데 5건을 기소의견으로 검찰에 송치했다”고 말했다.

의약수사팀은 무자격자가 의사나 약사의 면허 또는 법인의 명의를 빌려 의료기관이나 약국을 개설하는 사무장병원, 면대(면허대여) 약국 등 의약분야 불법행위를 전담하고 있다.

의약수사팀이 형사 입건한 불법행위자들의 위반내용은 △사무장병원 3건 △의료기관 중복개설 1건 △면대약국 3건 △의약품도매상 약사면허 차용 1건 △정신질환자 퇴원 요구 거부 1건 등이다.
가족을 직원으로 채용, 고액 임금 가로채고...가짜 간병인 명단 올려 요양급여 착복 등
부동산업자 A 씨는 의료법인을 설립해 요양병원을 개설했는데 수사 결과 사채업자를 통해 22억원의 가짜 예금잔액증명서를 만들어 담당보건소에 제출했고 의료법인에 출연하기로 했던 재산도 대부분 출연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그럼에도 병원 운영과정에서 법인자금을 횡령하고 부실한 경영을 해 부채가 쌓여갔고 결국 병원 공사대금 지급을 독촉하던 건축업자 B 씨에게 비영리법인인 의료법인을 팔아넘겼다.

의료법인을 인수한 B 씨도 가족들을 병원 직원으로 채용해 고액의 급여를 지급했고 가짜 간병인을 서류에 올려 이들에게 간병비를 지급했다가 수고비를 제외하고 현금으로 다시 돌려받는 방식으로 법인자금을 횡령했다.

A 씨와 B 씨가 약 14년간 요양병원을 운영하면서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받아낸 요양급여 등은 약 630억원에 달했다.

도내 소재 요양병원에 자금을 투자해 수익금을 챙겨오던 C 씨는 투자한 요양병원이 폐업하게 되자 투자자 5명으로부터 투자금을 모아 직접 의료법인을 설립하고 요양병원을 개설했다.

이후 투자자들과 그 배우자들을 법인 임원으로 등재해 급여를 지급하는 방식으로 투자수익금을 챙겼으며 C 씨가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타낸 요양급여 등은 124억원에 달했다.

의료기기판매업자인 D 씨는 의사를 고용해 비뇨기과 의원을 개설한 후 자신이 의사인 양 의사 가운을 입고 수술실에서 의사와 함께 수술하는 등 무려 65건의 무면허 의료행위도 함께 했던 것으로 밝혀졌다.
사무장이 의약품 제조 판매한 면대약국도 적발
고령의 약사를 고용해 약국을 개설한 사무장 E 씨는 주 3일만 출근하는 약사를 대신해 자신이 마치 약사인 것처럼 의약품을 조제․판매하다가 적발됐다.

또 다른 면대약국 사무장 F 씨는 개설 약사의 명의로 제약회사에 외상으로 의약품을 구입한 후 80회에 걸쳐 의약품도매상에 3억6000만원어치를 팔았으며 이 과정에서 명의를 대여했던 개설 약사는 의약품 채무 등으로 인해 신용불량자로 전락했다.
공진당 등 고가 약 지급하고 도수치료한 것 처럼 속여 보험금 타낸 한방병원도 단속
한방병원을 운영하던 한의사 G 씨는 환자에게 경옥고나 공진단 등의 한방약을 지급했는데도 도수치료를 한 것처럼 약 3000건의 진료기록부를 허위 작성하도록 지시했다.

고가의 한방약인 경옥고나 공진단은 실비보험 청구가 되지 않지만 이를 도수치료로 진료기록부를 조작할 경우 개인실비보험에 가입된 환자는 보험 청구가 가능해진다.

G 씨는 자신의 한방병원으로 환자들을 유치하면서 환자들이 약 2억6000만원 상당의 보험금을 편취할 수 있도록 진료기록부를 조작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사무장병원의 경우 의료법에 따라 10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억 원 이하의 벌금, 면대약국의 경우 약사법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하며,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지급한 요양급여 금액은 전액 환수조치 된다.

김민경 단장은 “사무장병원 의심 기관에 대한 제보, 행정조사, 수사 의뢰, 형사입건과 수사의 효과적인 프로세스 구축을 위해 보건복지부, 국민건강보험공단, 시․군․구 보건소와 더욱 긴밀한 협업체계를 강화해 나갈 것”이라며 “앞으로도 도 민생특별사법경찰단은 도민 건강권과 공정한 의료질서 확립을 위해 수사를 더욱 강화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