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수·매도 없이 관망세 지속…꽁꽁 얼어붙은 아파트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신동근 기자
입력 2021-11-30 18:0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종부세 부담에도 다주택자 매물 출회 無…대출규제로 매수여력 감소"

  • "내년 정비사업 활성화 이슈, 대선 등으로 내년 집값 상승 가능성도 있어"

남산서울타워에서 바라본 아파트 단지의 모습 [사진=아주경제DB]

 
집값 급등에 따른 피로감과 금융권 대출 축소 여파가 겹치며 서울 주택시장 거래절벽이 깊어지고 있다. 정부가 역대급 종합부동산세를 통해 매도 시그널을 강하게 보내고 있지만 높은 양도소득세 등의 요인으로 매물이 잠기며 매수자-매도자간 줄다리기만 지속하는 모습이다. 

30일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이달 서울 아파트 거래 건수는 580건이다. 지난해 같은 달 6365건과 비교하면 10분의 1 수준으로 쪼그라든 것이다. 지난달 2034건과 비교해서도 큰 차이가 있다. 

강남구 대치동 인근 A공인중개업소 대표는 "종부세 부담이 있더라도 다주택자 매물이 지금 나오기 힘들 것"이라며 "팔고 싶지 않아서 '안' 파는 것이 아니라 최대 75%에 달하는 양도소득세가 너무 비싸서 '못' 팔게 된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당연히 증여하거나 정권이 바뀌길 기다려보려는 사람들이 대부분"이라며 "한시적인 양도세 완화라도 해야 다주택자들이 매물을 내놓을 것"이라고 말했다.

대치동 B공인중개업소 대표도 "강북 지역 등에 아파트를 추가로 가지고 있어, 종부세 대상이 됐던 고객은 올해 초쯤 딸들에게 증여했다"며 "앞서 선제 행동으로 이미 종부세에 대해 준비한 경우가 많아, 매물이 급증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이어 "정부가 집을 팔라고 하는 상황에서 매수자들은 집값이 떨어질 것으로 기대하고 관망세로 돌아선 것으로 보인다"며 "이런 추세가 단기적으로는 이어질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양천구 목동의 공인중개업자는 "매물을 내놓는 사람이 많지는 않다"며 "대신 집주인들이 전세를 월세를 낀 계약으로 바꾸려고 하고 있어, 전세의 월세화 현상이 점차 발생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가 종부세 강화로 다주택자 매물이 나오길 기대했지만 실제 현장에선 큰 움직임을 보이지 않고 있다. 부동산 빅데이터 업체인 아실에 따르면 30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물은 4만4555건으로 종부세가 고지된 지난 22일 4만4251건과 비교해 차이가 없는 상황이다. 대신 월세 매물은 1만8807건에서 1만9114건(1.63%)으로 소폭 늘었다.

일시적이라도 양도세 완화 없이는 다주택자들이 버티기를 택할 가능성이 높다는 게 현장의 반응이다. 전문가들도 대출규제로 인한 인위적인 수요 줄이기의 영향으로 거래가 감소했다고 분석했다.

윤지해 부동산R114 연구원은 "지금의 소강상태는 크게 인위적인 대출규제를 통한 매수 여력 감소와 부담스러운 집값이라는 두 가지 요인"이라며 "매수수요 자체가 줄어든 것은 아니다"라고 분석했다.

주택시장 거래절벽이 길어지면서 집값 상승세도 점차 꺾이고 있다. KB부동산의 시계열 자료에 따르면 이달 서울 주택 매매가격은 0.73% 상승해 지난달(1.10%)보다 오름폭이 0.37%포인트(p)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9월 상승률 1.52%를 기록한 후 두 달 연속 상승폭이 줄었다. 

윤 연구원은 "내년에도 대출규제가 더 강화되면서 거래량이 줄어들 가능성이 있다"면서도 "특히 입주물량 부족 현상과 미분양 역대 최소, 재개발·재건축 정비사업 활성화 기조, 대선 등의 요인으로 볼 때 다시 집값이 올라갈 여지가 충분하다"고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