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내주 바이든-시진핑, 화상 정상회담 개최...관계 개선·무역분쟁 해소 이목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최지현·최예지 기자
입력 2021-11-10 16:33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정상회담 일정이 다음 주 진행될 것으로 관측된다. 지난 1월 바이든 대통령의 취임 이후 시 주석과의 첫 공식 회담인 만큼 양국 관계 개선의 물꼬가 트일지 이목이 쏠리고 있다.

9일(현지시간) 블룸버그와 로이터는 해당 사안을 잘 알고 있는 인사들을 인용해 이 소식을 전하면서 구체적인 회담 날짜는 양국이 아직 협의 중이라고 보도했다.

지난 1월 20일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취임한 이후, 두 정상은 아직 공식적인 정상회담을 진행한 적이 없다. 두 정상은 지난 2월과 9월 각각 2시간과 90분에 걸쳐 전화 통화로 양자 대화를 진행했을 뿐이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왼쪽)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사진=AFP·연합뉴스]


그간 언론은 두 정상이 지난달 말 주요 20개국(G20) 정상회담이나 이달 초 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 회담을 계기로 대면 양자 정상회담을 개최할 것으로 기대했으나, 시 주석의 대면 행사 불참으로 결국 무산됐다.

대신, 제이크 설리번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과 양제츠 중국 외교담당 정치국원이 지난달 스위스 취리히에서 만나 두 정상의 연내 화상 방식의 정상회담 개최 방안에 합의했다.

이후 미·중 정상회담과 관련한 보도는 이번을 제외하고는 나온 적이 없다. 이와 관련해 카린 장 피에르 미국 백악관 부대변인은 이날 정례 기자회견에서 해당 보도를 재확인하면서도 구체적인 언급을 피했다. 그는 "양국이 연내 화상 정상회의를 원칙적으로 합의한 상태"라며 "세부 사항을 확인하기 위한 실무진 차원의 논의가 이뤄지고 있다"고 말했다.

중국 당국은 공식적인 입장을 표하진 않았지만, 미·중 정상회담 분위기 조성에 나섰다. 해당 보도 이후 주미 중국대사관에서 열린 미·중 관계 전국위원회 행사에서 바이든 대통령 앞으로 전달된 시 주석의 영문 서한을 공개한 것이다. 친강 주미 중국대사가 대독한 해당 서한에서 시 주석은 "지금 중·미 관계는 중대한 역사적 기로에 있다"면서 "(양국의) 협력만이 올바른 선택"이라고 강조했다.

시 주석은 이어 "협력을 통해선 양국이 이익을 얻지만, 대립으론 손해만 입을 것"이라면서 "중·미 관계를 건전하고 올바른 궤도로 되돌리기 위해서는 '상호 존중(mutual respect·相互尊重)’의 원칙에 따라 '이견(차이)을 적절히 관리(properly manage difference·妥善管控分歧)'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에 대해 CNBC는 거친 어조였던 중국의 대미 메시지가 차분한 어조로 전환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지난 9월 통화에서 양국 협력을 촉구했던 바이든 대통령에 대한 시 주석의 화답으로도 풀이할 수 있다고 짚었다. 당시 백악관은 두 정상의 대화 시도에 대해 "양국의 (체제) 경쟁을 책임감 있게 관리하는 노력의 일환"이라면서 "양국의 경쟁이 갈등으로 비화하지 않도록 책임감을 가져야 한다는 데 공감대를 형성했다"고 평가했다.

따라서, 다음 주 정상회담을 통해 양국의 관계 회복 물꼬가 트일지 여부에도 이목이 쏠리고 있다. 그간 미국 측은 정상 대화의 목표로 구체적인 결과물을 도출하기보다는 양국 관계를 관리하는 차원으로 밝혀왔다. 양국 정상 간의 '커뮤니케이션 채널'을 열어둬 '안정적인 상황(a steady state)'을 유지한다는 것이다.

다만, 시 주석이 대미 대화를 통해 중국 안팎에 리더십을 보일 수 있다는 기대감도 나온다. 내년 3연임에 대한 역사적 명분을 쌓는 자리인 중국 공산당 제19기 중앙위원회 6차 전체회의(19기 6중전회)를 마무리한 직후 미·중 정상회담에 나서기 때문이다.

이 경우, 양국이 비교적 수월하게 협력에 착수할 수 있는 유력한 분야로 꼽혀온 북핵 문제, 기후변화 협력 등에서 진전된 논의가 나올 가능성이 있다. 무엇보다 올 연말 미·중 1단계 무역합의 이행 평가 기한이 다가오는 가운데, 양국이 이번 회담을 통해 무역 분쟁의 해결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지에도 관심이 쏠린다. 

또한, 이날 로이터는 지난해 7월 각각 폐쇄한 중국 쓰촨(四川)성 청두(成都) 주재 미국 영사관과 미국 텍사스주 휴스턴 주재 중국 영사관의 재설치 여부에도 주목했다. 하지만, 이후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2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해당 문제를 다루진 않을 것이라는 내용의 반박성 보도를 내보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