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국적 기업의 '홍콩 엑소더스'…'아시아의 세계도시'가 흔들린다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정혜인 기자
입력 2021-06-07 14:33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다국적 기업의 홍콩 탈출…사무실 공실률 15년래 최고"

  • 홍콩 암참 회원사 325개 중 42% "홍콩 탈출 계획 준비"

  • 정치적 불안 고조된 홍콩 대신 싱가포르·상하이로 이주

`아시아의 세계도시`로 다국적 기업의 집합소로 불리던 홍콩의 입지가 흔들리고 있다. 미국 등 홍콩에 본사를 둔 다국적 기업의 `홍콩 엑소더스(Exodus·탈출)` 속도가 국제 금융위기 이후 가장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는 이유에서다. 

6일(이하 현지시간)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다국적 기업들이 홍콩의 미래를 비관하며 홍콩 탈출 계획을 세우며 세계 최고 상업도시인 홍콩의 불확실성을 키우고 있다고 보도했다.
 

홍콩 도심에 서 있는 한 홍콩시민. [사진=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


WSJ은 홍콩 국가보안법 시행 이후 불거진 정치적 논쟁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당국의 규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등에 불안감을 느낀 다국적 기업이 싱가포르 등과 같은 홍콩의 경쟁도시로 이동하고 있다고 전했다. 또 일부 기업들은 중국 거대경제로부터 더 나은 이익을 얻고자 중국 상업 중심지인 상하이(上海)로의 이전을 계획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1997년 영국이 홍콩을 중국에 반환한 이후 홍콩은 `아시아의 세계도시`로 성장했다. 특히 미국이 홍콩정책법을 통해 관세, 비자 등을 자유화한 `특별지위`를 홍콩에 부여했고, 이로 인해 홍콩은 중국·아시아 시장을 공략할 미국 기업들의 전진 기지로 자리 잡았다.

하지만 지난 2019년부터 미국 등 다국적 기업의 홍콩 탈출 속도가 빨라졌다. 이로 인해 홍콩 내 사무실 공실률이 15년 만에 최고치에 달하는 등 국제도시라는 홍콩의 명성이 흔들리고 있다고 WSJ은 지적했다. 또 부동산 중개업체인 쿠시먼앤드웨이크필드(Cushman&Wakefield)를 인용해 "지난해에는 국제 금융위기 이후 그 어느 때보다 많은 외국인과 현지인이 홍콩을 떠났다"고 전하기도 했다.

지난달 발표된 홍콩 주재 미국 상공회의소(AmCham·암참) 설문조사에서도 기업들의 홍콩 탈출 움직임이 확인됐다. 지난달 5일부터 9일까지 홍콩 암참이 회원사 325개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응답자 전체 42%가 홍콩 탈출을 계획 또는 고려하고 있다고 답했다.

응답자 42% 중 3%는 홍콩을 즉시 떠날 계획이라고 답했고, 10%는 올여름 내로, 15%는 연말까지 홍콩을 떠날 계획을 세우고 있다고 했다. 응답자들은 홍콩 국가보안법에 따른 불안감과 홍콩의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을 홍콩 탈출 배경으로 꼽았다.

팀버랜드, 노스페이스 등 유명 의류업체를 보유한 VF로프는 지난 1월 25년 된 900명 규모의 홍콩사무실을 폐쇄한다고 발표했다. 일본 소니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SIE), 루이뷔통모에헤네시(Louis Vuitton Moët Hennessy·LVMH), 로레알 등은 홍콩사무실의 인원을 인근 국가인 싱가포르 사무실로 재배치했다.
 

2019년 홍콩에서 행진 중인 민주화 시위대. [사진=월스트리트저널(WSJ)]


미국 등 다국적 기업이 떠난 자리는 중국 기업이 채우면서 홍콩의 `중국화`가 이뤄지는 듯하다고 WSJ은 분석했다.

WSJ에 따르면 지난해 6월 3일 기준 최근 1년 동안 홍콩에 지역본부를 세운 중국 기업은 63개로 집계됐는데, 이는 전년 대비 12%가 증가한 것이다. 같은 기간 미국 기업들은 홍콩에 있는 지역 본사 및 사무실 45개 폐쇄했고, 이는 홍콩에 있는 다국적 기업의 지역 본사 및 사무실 전체 규모의 6%에 달한다.

다국적 기업의 `홍콩 엑소더스`에도 골드만삭스, 씨티그룹, UBS, HSBC 등 세계 투자은행(IB)과 금융업체들은 중국 사업을 위해 홍콩의 역할이 크다고 판단하며 홍콩 사업규모를 확장하고 있다. 영국에 기반을 둔 거대은행인 HSBC 홀딩스 PLC는 지난 2월 홍콩에 기반을 둔 아시아 사업에 대한 60억 달러 규모의 투자 계획을 발표했다.

하지만 WSJ은 2019년 홍콩에서 벌어진 민주화 운동과 홍콩 국가보안법 시행으로 한층 정치적 불안감에 외국인은 물론 현지인들의 탈출도 이어지고 있다고 꼬집었다. 영국 가디언에 따르면 지난 2~3월 두 달 동안 영국해외시민(BNO) 여권을 소지한 홍콩 주민들의 영국 이민 비자 신청은 3만4000건에 달했다. 이는 이전 6개월간 신청 건수인 7000건의 5배에 달하는 수준이다.

한편 현지 사정에 정통한 한 소식통은 "일부 대형은행이 홍콩의 미래를 낙관적으로 바라보며 현지 사업 확장에 나서고 있다. 하지만 이들도 홍콩에서 벗어나 다른 곳에서 사업을 운영할 `비상 계획`을 세우고 있다"고 WSJ에 귀띔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