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얀마 군부, '쿠데타 굳히기' 나서나?...'집단학살 방불' 유혈진압 공세↑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최지현 기자
입력 2021-04-11 11:21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8~9일 도시 한 곳서 최소 85명 사망...박격포·유탄 등 중화기까지 동원

미얀마 군부가 또 다시 시위대에 대해 대규모 유혈 진압을 단행했다. 특히, 군경은 박격포와 유탄발사기 등 중화기를 무차별적으로 난사해 최소 85명 이상의 시민이 사망했다. 국제사회의 유명무실한 경고 속에 미얀마 군부의 무력 행위가 더욱 대담해지고 있는 것이다.

10일(현지시간) 닛케이아시아와 AP 등 외신에 따르면, 미얀마 인권단체인 인권단체인 정치범지원연합(AAPP)은 지난 8일 밤에서 9일 오후 동안 최소 85명의 시민이 군경에 의해 사망했다고 집계했다.

사망자는 모두 미얀마 최대 도시 양곤 인근의 바고 지역에서 발생했으며, 이날 시위 진압에서 군경은 기존에 사용하던 소총이나 수류탄을 넘어 보다 살상력이 큰 박격포와 유탄발사기 등의 중화기까지 동원한 것으로 추정된다.
 

8~9일(현지시간) 미얀마 바고 지역에서 군경이 시위대 진압을 위해 사용한 것으로 추정되는 박격포 포탄 파편.[사진=트위터]


AP는 시위대 진압 과정에서 군경의 중화기 사용 여부를 직접 확인하지는 못했지만, 사회관계망 서비스(SNS) 등을 통해 게시된 현장 사진에서 박격포탄 파편으로 보이는 물체를 발견했다고 지적했다.

현지 언론인 미얀마나우가 지역 주민을 상대로 취재한 내용에 따르면, 군경은 시위 사망자들의 시체와 부상자들을 지역 학교와 불탑 내부에 모아놓고 해당 지역을 봉쇄했으며, 시위 현장 주변의 최소 5개 구역에 거주 중인 주민들은 대피한 상태다.

이날 시위를 주도했던 시민인 예 후트는 "이날 10대의 군용 수송 트럭을 타고 도착한 군경은 그림자만 보여도 총을 쏘아댔다"면서 "이는 마치 집단학살(제노사이드·Genocide)과 같았다"고 증언했다.

해당 지역의 사망자는 여전히 집계 중인 상태로, 최초 보도 당시 알려졌던 사망자인 40명 수준에서 계속 불어나고 있다.

이날 바고 지역에서의 시위 진압은 지난달 14일 양곤에서 100명 이상이 숨진 이후 한 지역에서 가장 많은 시민이 학살당한 사건이다. AAPP은 지난 2월 1일 군부의 쿠데타 이후 총격 등 군경의 폭력 행위로 사망이 확인된 시민의 숫자를 최소 704명으로 집계했다.
 

지난 9일(현지시간) 미얀마 군부의 기자회견 중 조 민 툰 군부 대변인 겸 미얀마군 준장이 시민들에게 압수했다고 주장한 무기들을 둘러보고 있다.[사진=AFP·연합뉴스]

미얀마 군부, 국제사회 '무력 대응'에 '쿠데타 굳히기' 나서나?

미얀마 군부는 시민 학살에 대해 발뺌하며 유혈 진압의 책임을 오히려 시민들에게 돌리고 있다.

지난 9일 수도 네피도에서 기자회견을 한 군부는 쿠데타와 시위 진압을 정당화하고 비상사태 기간을 연장할 것을 시사했다.

이날 군사정권 대변인인 조 민 툰 준장은 "군부의 행동은 쿠데타가 아니며, 평화를 원하는 시민들의 시위가 점점 줄고 있다"면서 "정부의 모든 부처는 조만간 정상적인 운영을 완전히 재개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어 "우리(군부)가 만약 자동소총을 사용해 시위대를 쐈다면 몇 시간도 안 돼 500명은 죽었을 것"이라며 대량학살 의혹을 부인하는 한편, "시위대가 고의로 어린 아이들을 최전선에 세워 참여를 부추기고 있다"고 말해 학살 책임을 시민 측에 돌렸다.

그러면서 군부는 비상사태 선포 기간을 종전 1년에서 최소한 6개월 이상 연장할 수 있다면서 "2년 내에 자유롭고 공정한 선거를 치를 것"이라고도 덧붙였다.

이에 대해 외신들은 군부가 비상사태 기간을 연장해 차기 선거가 군부에 유리하도록 선거 제도나 헌법을 고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군부는 유명인사를 포함한 시위 참여 시민들에게 광범위한 체포 명령을 내렸으며, 군인들을 공격한 혐의를 받는 시위대 23명에게는 군사재판을 통해 사형 선고를 내렸다.

군부의 이와 같은 행태는 국제사회의 규탄과 제재가 유명무실한 가운데, 반군부 운동으로 자국 경제와 국가 운영이 한계를 보이자 군부의 지배를 빠르게 안착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미국은 미얀마 군부에 대한 모든 무역 교류를 중지하는 제재에 이어 무기 금수 조치를 내렸으며, 국제연합(UN) 안전보장이사회가 더욱 강한 국제 제재를 도입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

그러나 미국의 무기 금수 조치는 사실상 큰 효과를 발휘하기 어렵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스톡홀름 국제평화연구소에 따르면, 지난 10년(2010~2020년) 동안 중국과 러시아가 미얀마 군부에 거의 대부분의 무기를 공급해온 반면, 미국 측의 공급량은 거의 없기 때문이다.

특히, 미얀마 군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중국과 러시아가 UN 상임이사국으로 국제 제재와 규탄에 반대 입장을 취하고 있으며, UN이 미얀마에 긴급 파견한 크리스틴 버거너 특사 조차 미얀마 입국을 거부당한 채 태국 방콕에 체류하고 있다.

다만, 지난 10일 국제 신용평가기관 피치 산하 경제 연구 기관인 피치솔루션은 미얀마 군부의 쿠데타 이후 "물가가 급등하고 무역이 붕괴했을 뿐 아니라 국내 소비와 세수, 정부 지출 등 주요 경제 지표가 눈에 띄게 감소했다"면서 "국가 경제 붕괴를 비롯해 어떠한 가능성도 최악의 경우로 배제할 수 없다"고 평가했다.
 

2010~2020년 대(對)미얀마 무기 공급 순위. 중국·러시아·인도·한국·벨라루스·이스라엘·네덜란드·프랑스·우크라이나·독일·기타 순.[자료=닛케이아시아·스톡홀름 국제평화연구소]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