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 3월 대란 막자'...정부·재계 피해 확산방지 '총력'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윤정훈 기자
입력 2020-02-09 14:05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현대차·삼성전자 협력사에 긴급 자금 각각 1조원, 2조6000억원 지원

  • 정부 자동차 공장 재가동에 위해 중국 정부와 협의…국내 생산도 지원

  • 10일부터 춘절 복귀 시작하는 기업들 순차적으로 재가동률 높일 계획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사태로 중국산 부품 공급이 중단되면서 생산 라인이 순차적 휴업에 들어간 현대자동차 울산공장의 6일 모습. [사진=연합뉴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으로 인한 경제적 피해가 일파만파 커지고 있다. 정부와 재계는 망가진 중국 공급망에 대한 대책 마련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사태가 장기화하면 자동차 산업 뿐 아니라 중국 내 디스플레이, 배터리, 가전 등 모든 산업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3월 대란' 올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9일 현재 국내 완성차업체 5곳 중 3곳(현대차·쌍용차·르노삼성차)가 셧다운 중이다. 기아차도 10일부터 공장이 멈추고, 한국GM도 재고가 곧 바닥날 것으로 보인다. 그야말로 사상 유례없는 긴급 상황이다.

이에 현대차그룹은 경영난으로 힘들 협력사에 1조원 긴급 지원에 나섰다. 지원 내용은 △3080억원 규모 경영자금 무이자 지원 △납품대금 5870억원과 부품 양산 투자비 1050억원 조기 결제 등이다.
 

박용만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이 지난 7일 중구 대한상의에서 열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대응 관련 기업인 간담회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정부도 직격탄을 맞은 완성차 업체의 부품 단기 수급과 국내 생산기반 유지를 위해 지원에 나섰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지난 7일 '제4차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대응 경제장관회의'에서 "중국공장 재가동과 수입대체선 확보에 가용 역량을 총집중하겠다"며 "중국 내 생산 부품의 물류와 통관에 애로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는 만큼 '물류애로 지원체계'를 긴급 가동하고, 관련 부품이 국내로 수입될 경우에는 24시간 긴급통관 등을 통해 신속한 국내 반입을 적극 뒷받침하겠다"고 강조했다.

중장기적으로는 대외 수급 리스크가 큰 부품의 국내 생산과 긴급 수입 대체선 확보 지원에 주력한다.

홍 부총리는 "국내 생산 확대를 위해 특별연장근로를 신청할 경우 이를 신속하게 인가하고, 퇴직 인력과 연구기관 등을 활용한 생산·연구인력 긴급지원, 국내외 생산 설비 확충을 위한 자금지원도 추진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사진=LG화학]


디스플레이, 배터리 등 다른 주요 산업도 언제 부품이 바닥날 지 모르는 긴장 상태다. 10일 춘절 연휴가 끝난 후 재가동에 들어가는 중국 내 진출 기업은 신종 코로나 확산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삼성전자는 이날 선제적으로 1조6000억원 규모의 이달 물품 대급을 조기 지급하는 등 2조6000억원 규모의 자금 지원을 밝혔다. 자금 지원과 더불어 국내 중소기업이 부품을 수급을 잘 할 수 있도록 통관 정보 등도 공유한다고 했다.

중국 내 진출한 한국 기업은 중국 지방정부와 협의해 순차적으로 가동률을 높여갈 방침이다.

옌타이와 난징 지역 모듈 공장 가동을 중단해온 LG디스플레이는 "복귀 인력 등을 고려해 10일부터 순차적으로 가동률을 높여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난징에 배터리 공장을 운영하고 있는 LG화학 관계자는 "최소 인원으로 일부 재가동을 시작할 것"이라며 "가동률은 적정선을 유지할 예정이다"라고 했다.

반도체 업계는 중국 현지 조달 비율이 높지만 소재를 일본, 유럽 등에서 조달하고 있어 현재로서는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전문가들은 이번 사태가 2003년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사스)보다 심각하게 보고 있다. 시장에 미치는 경제손실만 1600억달러(190조원)로 사스 당시 400억달러보다 4배 이상 큰 것으로 추정했다. 한국의 중국 수출 비율은 2003년 16% 수준 이었지만, 지금은 27%에 육박한다.

김영주 한국무역협회 회장은 지난 7일 정부 간담회에서 "춘절이 지나가면 물류차질이 발생하고,. 원자재 부품 공급에 있어 한국도 중국도 애로사항이 발생할 것"이라며 "하루 빨리 공급처를 다변화해야 하고, 주52시간이나 화평법 등 현행제도나 법령에 있어 보다 유연한 적용이 필요한 시점이다"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