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GDP 대비 취업자수 사상 최소 기록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이경태 기자
입력 2019-04-07 09:33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실질 국내총생산 10억원 생산할 때 필요한 수인 취업계수 16.79명 기록

서울시청 앞 광장에서 용역 근로자 및 기간제 근로자들이 일하고 있다. 통계청의 '2019년 2월 고용동향'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는 2천634만6천명으로 1년 전보다 26만3천명 늘었으며 공공 일자리사업 확대와 농림어업 종사자 증가의 영향으로 60세 이상 취업자가 통계 작성 후 가장 많이 증가했다. [연합뉴스]


지난해 국내총생산(GDP) 대비 취업자 수가 사상 최소수준으로 떨어졌다. 

7일 한국은행과 통계청, 한국고용정보원 등에 따르면, 지난해 실질 국내총생산(GDP) 10억원을 생산할 때 필요한 취업자 수인 취업계수는 16.79명에 그쳤다. 2017면 17.18명으로 사상 최소였던 수준을 1년만에 갈아엎은 상태다.

그동안 취업계수를 보면, 1990년 43.1명이었지만 1997년 외환위기를 맞으면서 29.6명으로 줄었다. 2009년에는 19.9명으로 내려 앉은 뒤 줄곧 20명대로 회복되지 않았다. 2010∼2014년 18명대에서 2015∼2017년 17명대로 감소했으며 지난해에는 16명대로 위축된 셈이다.

더구나 지난해 취업계수 하락 폭은 8년 만에 최대 수준을 보였다.

전년 대비 하락 폭은 0.39명으로 2010년(0.95명) 이후 가장 높았다. 2010년에는 성장률은 6.5%였으나 금융위기에 따른 고용 한파가 이어지면서 취업자 수는 34만5000명 증가에 그쳤다. 지난해에는 취업자 수 증가율이 경제성장률 둔화세보다 급격히 둔화됐다.

2017년에는 성장률 3.1%, 취업자 수 증가율 1.20%인 것에 반해 지난해에는 성장률이 2.7%로 떨어졌으며 취업자 수도 1년 전보다 0.36% 증가하는 정도였다. 

고용 창출 효과가 낮은 반도체산업 위주로 경제가 성장한 게 취업계수 하락을 부추겼다는 분석도 나온다.

실제 반도체 분야 취업계수는 2014년 기준 1.40명으로 디스플레이(0.67명), 플랜트 산업인 석유화학(0.36명)과 함께 낮은 수준을 보였다. 이와 달리, 서비스업(11.22명) 취업계수는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경제가 성장할 때 고용이 얼마나 증가 했는 지를 보여주는 고용 탄성치도 0.13을 기록해 2009년(-0.52) 이후 9년 만에 가장 악화된 모습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