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 DMZ 최전방 부대 올해·내년 신축공사 보류 검토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성동규 기자
입력 2018-07-01 14:23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분단 70 주년이던 2015년 여름 경기도 연천군 서부전선 비무장지대(DMZ)에서 고라니가 물을 마시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군 당국이 비무장지대(DMZ)로부터 5~10여㎞ 거리의 군부대 시설 신축공사를 전면 보류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4·27 남북정상회담 후 판문점 선언에 명시된 대로 남북 양측의 군축에 대비해 최전방 부대의 후방배치를 염두에 둔 것으로 풀이된다.

1일 국방부에 따르면 작전 개념상 최전방인 FEBA(Forward Edge of Battle Area·전투지역전단) 알파(A) 지역에 있는 90~100여개 부대에서 올해 계획돼 있거나 내년 예산에 반영된 시설 신축공사 일정을 잠정 보류했다.

FEBA(페바)는 알파, 브라보(B), 찰리(C), 델타(D)로 나뉘며, 이 가운데 FEBA 알파는 비무장지대(DMZ)에서 5~10여㎞ 떨어진 곳으로 민간인통제선 내 지역이다. DMZ와 가장 근접한 이곳에는 수색대대와 포병대대, 정보부대 등이 배치돼 있다.

보류된 신축예정시설은 병영생활관 등이 대부분이고, K-9 자주포 등 포병진지 개선 작업도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다.

국방부 관계자는 이와 관련해 “최근 안보 상황 변화에 따라 군사시설 건립 방향에 대해 현재 내부 검토 중”이라며 “국방 예산의 낭비를 선제로 방지하기 위하여 일부 전방부대를 대상으로 공사 미착공 상태인 신축사업에 한해 잠정 보류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국방부는 남북 군사 당국의 협의 추이를 봐가면서 합참, 육군 등 관련 기관과 충분한 논의를 거쳐 전체 공사 재개 여부와 함께 어떤 시설만 선별적으로 공사를 진행할지 등을 결정할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군 당국이 DMZ의 실질적인 평화지대 조성을 위한 움직임을 보이면서 앞으로 진행될 군사회담에서 서울과 수도권을 위협하는 북한 장사정포 후방배치와 비무장지대(DMZ) 인근의 군부대 상호 후방배치 등의 문제가 본격적으로 다뤄질 것이라는 관측도 제기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