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쫓기는 ICT 강국]​ICT 강국으로 부상하는 중국…모바일 헬스케어 시장도 위험하다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배군득 기자
입력 2018-04-10 11:06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바이두‧알리바바‧텐센트 등 중국기업들 시장 확대 잰걸음

  • 한국 기업들 기술 우위 있지만…규제와 정책 부재로 신음

 

중국 모바일 헬스케어산업이 급부상하고 있다. 바이두·알리바바·텐센트 등 대표 정보통신기술(ICT) 기업을 중심으로 시장 확대에 나서는 모습이다.

중국 정부는 자국 모바일 헬스케어 시장을 성장시키기 위해 각종 규제완화와 지원책을 내놓으며, 환경조성에 나서고 있다.

반면 우리나라는 중국보다 먼저 모바일 헬스케어 시장에 뛰어들었지만, 성과가 미미하다. 특히 모바일 헬스케어를 앞세워 중국에 원격의료 시스템을 수출하겠다는 정부 전략이 흐지부지되며, 국내 관련 기업의 사업환경도 갈수록 나빠지고 있다.

중국에서는 최근 20년간 인구 고령화와 만성질환자의 지속적인 증가로, 의료수요가 끊임없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의료인력이 부족하고, 의료서비스의 80%가 대도시에 집중돼 의료서비스 공급 부족과 지역적 불균형 문제가 심각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모바일 헬스케어가 조명받고 있다. 그동안 잠잠하던 중국 ICT 기업들도 성장 가능성을 확인하고, 기술개발에 착수한 상태다.

최근 중국내 모바일 헬스케어 분야에서는 ICT 기업의 성장뿐 아니라, 보험사‧제약회사 등과 융합이 활발히 이뤄지며 산업생태계가 확장되고 있다.

산업연구원에 따르면 2012년 중국 모바일 헬스케어 서비스 이용자 수는 3600만명에 불과했지만, 2015년 1억1500만명으로 3배가량으로 늘었다. 2014년보다 109.7% 증가한 수치다.

모바일 헬스케어산업의 핵심적인 자원공급자인 의료기관이 적극적인 도입 의지를 내비치며 시장도 급성장하고 있다. 중국내에서 원격진료가 허용된 후, 인터넷 진료가 가능한 병원이 2016년 12월 기준 40여개에 이른다.

조은교 산업연구원 부연구위원은 “중국 모바일 헬스케어산업 생태계에서는 산업 간 경계선이 무너지고 있다. 특정 산업이 주도하는 것이 아니라, 밸류체인 간 공급자 역할이 유기적으로 연계되는 양상”이라며 “주로 △진료 전 접수 △예약 △진료 후 케어 등 일부 기능만 취급했던 과거와 달리,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로 창출되는 부분을 주목해야 한다”고 분석했다.

중국이 모바일 헬스케어 시장 선점에 나선 반면, 우리나라는 시장성장이 더딘 상황이다. 중국 정부는 창업지원 정책까지 내놓으며 시장 확대에 나서고 있다.

모바일 헬스케어산업이 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 중요한 신성장 분야라는 점에서, 우리나라도 관련 시장확대와 경쟁력 확보가 시급한 셈이다.

이에 따라 산업연구원은 모바일 헬스케어 분야의 새로운 가이드라인 마련과 의료정보에 대한 접근성 확대를 위해 규제완화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현재 우리나라 모바일 헬스케어 시장은 기존 의료환경 규제가 얽혀 있어 진입장벽이 높다. 이로 인해 ICT를 활용한 사업모델 혁신과 발전에 제약이 크다.

조 부연구위원은 “전체적으로 우리나라 모바일 헬스케어 환경은 보완해야 할 점이 많다. 창업 지원정책만 봐도 차이가 크다”며 “모바일 헬스케어에 특화된 창업활성화 지원정책을 통해 시장의 자유로운 진입을 허용하는 등 폭넓은 생태계를 조성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어 “중국 헬스케어시장 진출확대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기술 성숙단계가 아니라는 점에서 우리 기업의 기술력이 진입할 여지는 충분하다”며 “향후 중국내 원격진료센터를 구축하고, 국내 의료진과 함께 해외 환자의 원격진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공동 플랫폼을 운영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