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 E&M, 지난해 영업익 280억원, 전년비 46.9% ↓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7-02-08 16:57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신희강 기자 = 종합 콘텐츠 기업 CJ E&M이 지난해 영화 국내 흥행 부진으로 영업이익이 초라한 성적표를 거뒀다. 다만, 방송 콘텐츠 경쟁력 강화와 영화 해외 수출, 음악·공연 자체제작 확대로 전체 매출의 견조한 성장세를 이어갔다.

CJ E&M은 지난해 영업이익이 280억원으로 전년대비 46.9% 감소했다고 8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은 1조5384억원을, 당기순이익은 609억원으로 각각 14.2%, 15% 증가했다.

영업 적자는 영화의 국내 흥행 부진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됐다. 영화부문은 연간 매출 1896억원, 영업손실 239억원을 기록했다. 아가씨와 아수라 등 작품성 있는 영화들을 선보였지만 제작비 증가, 국내 극장 흥행 부진으로 수익성이 악화됐기 때문이다.

다만, 방송부문은 방송 광고시장 역성장에도 시그널, 또 오해영, 도깨비, 프로듀스101 등 차별화된 킬러 콘텐츠 확대로 연간 매출 1조1284억원, 영업이익 465억원을 달성했다. 특히 VOD 등 국내외 콘텐츠 판매와 디지털 광고 증가로 기타 매출이 4433억원을 기록해 전년대비 81.8% 고성장했다.

음악부문은 OST 등 자체 음반·음원 매출 확대로 연간 매출 1994억원, 영업이익 72억원을 기록해 수익 안정성을 확보했다. 공연부문은 뮤지컬 킹키부츠, 보디가드 등의 흥행으로 매출이 전년대비 36.8% 증가한 210억을 기록했으나, 글로벌 IP 개발 투자 증가 등으로 18억원의 영업손실을 냈다.

CJ E&M은 올해 독보적 콘텐츠 역량과 국내외 사업구조 강화를 꾀하겠다는 전략이다. 올해 매출액 목표는 1조8000억원에서 2조원이며, 영업이익은 900억원에서 1100억원으로 잡았다.

CJ E&M 관계자는 "CJ E&M 실적은 콘텐츠 역량 강화로 전체 해외 매출 비중이 확대되며 견조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며 "올해는 2020년 세계 톱 10 콘텐츠 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한 원년으로 방송채널 경쟁력 강화, 영화 자체 기획력 향상, 음악·공연 자체IP 확대, 공동제작 등 해외사업 구조 강화를 통해 매출과 수익 확대를 본격화 할 것”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