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민주, 신기남·노영민 구명 나섰다 김종인 지시로 중단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6-01-28 21:24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윤리심판원장 "새로운 사실관계 없다면 수위 낮추기 어려워"

아주경제 김동욱 기자 = 더불어민주당 일부 의원들이 28일 사실상 총선 출마가 힘든 중징계를 받은 신기남·노영민 의원에 대한 구명운동에 나섰으나 이에 대한 비판 여론이 일고 김종인 비대위원장이 중단을 지시하면서 하루만에 중지됐다.

김성곤 의원은 이날 두 의원을 구제하기 위한 탄원서 서명을 받았다. 서명에는 109명 소속 의원 중 3분의 1이 넘는 40여명이 동참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의원은 언론과의 통화에서 "두 의원의 징계가 확정되면 사실상 출마가 어려워 이 분들이 쌓은 정치경력이 '갑질 국회의원'으로 끝나 버린다"며 "본인의 명예에 너무 큰 상처인 만큼 윤리심판원이 전반적인 부분을 다시 한 번 봐줬으면 좋겠다"고 서명 배경을 밝혔다.

카카오톡의 의원 대화방에도 "언론에 보도된 내용의 상당 부분이 당무감사원에서 해명됐다", "당사자들이 사과하고 국회직까지 내려놨는데 과하지 않은가", "이미 여론재판을 받은 것도 큰 상처인데 이중, 삼중의 징계를 받아야 하는가"라는 취지의 동정성 글들이 올라오는 것으로 알려졌다.
 

28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첫 비상대책위원회의에 참석한 김종인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원장이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남궁진웅 timeid@]


그러나 김 위원장이 이날 오후 늦게 상황을 파악하고서 중단을 지시했고, 김 의원은 오후 7시50분께 기자들에게 휴대전화 문자메시지를 보내 "탄원서가 새롭게 출발하는 지도부와 당에 부담을 준다는 판단하에 서명작업을 중지하니 양지해 주시기 바란다"고 밝혔다.

김 위원장은 저녁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당 을지로위원회 행사에서 "일반적인 상식으로 생각할 때 정치인이 저런 행위를 해서는 안된다고 생각하며 그것에 대해 굉장히 단호해야 한다"며 서명운동을 비판했다.

김 위원장은 "'인정에, 또는 동료의원이니까 참 안타깝다, 적어도 다시 구제해야겠다' 이런 식의 행위를 취할 것 같으면 (당에) 희망이 없다"고 강조했다.

이어 "우리당이 앞으로 변화해야할 게 무엇인가. 과거처럼 소리나 지르고 구호만 외치고 이런식으로는 이제 국민의 신망을 얻지 못한다"며 "왜 우리가 일반 국민으로부터 이런 불신을 받는 정치가 됐는지 냉정하게 반성해야 국민의 신뢰를 얻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김 위원장은 낮에 열린 '더민주 60년사 출판기념회'에서는 기자들이 서명운동에 대한 생각을 묻자 "그건 내가 관여할 사항이 아니니까 나한테 물어봐도 답이 없어요"라고 말했으나 이후 당 관계자로부터 구체적 상황에 대한 보고를 받은 뒤 발끈해 강력 대응한 것으로 알려졌다.

당내에서도 두 의원에 대한 징계가 과한 것이 사실이지만 집단적으로 탄원서까지 제출하는 것은 국민 여론을 살피지 못한 부적절한 행동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한 의원은 "친노(친노무현) 등 주류가 주도해 탄원서를 받고 있는 것같다"며 "계파 온정주의는 당을 망하게 하는 일인데, 당이 전멸 위기임을 아직도 모르는지 답답하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