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 외주업체 비정규직 6만3000명…4년새 18% 늘어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4-09-01 08:07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공공기관 비정규직 전환 비율에 직접 채용 비정규직만 해당한다는 허점 노려

아주경제 노승길 기자 = 공공기관들이 용역·파견 등 간접고용 비정규직을 4년 동안 20% 가까이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정부의 공공기관 경영평가에 반영되는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비율에 공공기관이 직접 채용한 비정규직만 해당한다는 허점을 이용한 것이라는 지적이다.

1일 공공기관 경영정보시스템 알리오에 따르면 지난해 365개 공공기관의 '소속 외 인력'은 총 6만2962명으로 2009년의 5만3280명보다 18.17% 늘었다.

'소속 외 인력'은 기관이 외주업체를 통해 고용한 파견·용역 형태의 간접고용 비정규직이다.

이들은 해당 공공기관으로 출퇴근해서 기관과 관련된 업무를 보는 등 외관상으로는 기관 소속의 직원들과 다를 바 없지만, 정식 직원이 아니기 때문에 공공기관 인력과 관련된 정부의 정책 대상에서는 제외된다.

이런 간접고용 비정규직 규모는 기관이 직접 고용한 비정규직보다도 크다.

지난해 간접고용 비정규직(6만2962명)은 공공기관이 직접 고용한 기간제·단시간 등 비정규직 4만4325명보다 42.04%(1만8637명)나 많다.

정부는 안정적인 고용을 위해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을 추진하고 있다.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취임 직후인 지난 7월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가이드라인이 포함된 경제정책방향 만들어 대통령에게 보고했다.

최 부총리는 지난달 28일 "공공부문에서는 정규직과 같은 일을 하는 비정규직을 모두 정규직으로 전환시키는 계획을 세워서 진행 중"이라며 재차 강한 의지를 피력했다.

정부는 지난해 공공부문 비정규직을 2015년까지 정규직(무기계약직)으로 전환하겠다고 밝혔지만, 공공기관이 직접 채용한 비정규직만 여기에 해당한다.

간접고용 비정규직은 공공부문 정규직 전환 가이드라인에 제시된대로 상시·지속적 업무에 종사하고 있더라도 정규직 전환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공공기관들이 경영평가 성적 등에 반영되는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의 생색만 내기 위해 제도 허점을 노리고 간접고용 비정규직을 늘린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기관별로 보면 간접고용 비정규직 가장 많은 곳은 한국전력공사(7717명)이고 인천국제공항공사(6130명), 한국철도공사(4971명), 한국공항공사(3115명), 주택관리공단(2414명)의 순이다.

이들 기관이 직접 채용한 비정규직은 이보다 훨씬 적다.

주택관리공단은 아예 한 명도 없고, 인천국제공항공사는 5명에 불과하다. 한국공항공사는 17명, 한국철도공사는 295명, 한국전력공사는 356명이다.

기재부 관계자는 "공공기관 소속 외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은 쉽지 않은 문제"라며 "주무부처인 고용노동부와 협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