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임 금융 수장들, 취임 첫해부터 호된 신고식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3-12-01 14:25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신제윤 금융위원장(왼쪽부터), 최수현 금감원장, 홍기택 산은금융그룹 회장, 임영록 KB금융그룹 회장, 이건호 국민은행장

아주경제 김부원 기자 = 박근혜 정부가 들어선 후 새로 취임한 금융권 수장들이 취임 첫 해부터 호된 신고식을 치르고 있다. 정권 초부터 금융당국 수장들이 관치금융 의혹에 휩싸이며 비판을 받은데 이어 동양그룹 사태를 사전에 막지 못했다는 책임론까지 대두되고 있다. 

일부 금융사의 최고경영자들도 취임 첫 해를 힘겹게 보내긴 마찬가지다. 1년차 때 액땜한 것으로 생각하기엔 사태의 심각성이 너무 크다는 반응이 나올 정도다. 

1일 금융권에 따르면 최근 도쿄지점 비자금 의혹, 국민주택채권 100여억원 횡령, 주택보증부대출 부당이자 수취 등 국민은행의 각종 비리 혐의가 불거지면서 올해 취임한 임영록 KB금융그룹 회장과 이건호 국민은행장에 대한 비판 여론이 높아지고 있다. 

국민은행 사태의 궁극적인 책임은 전 경영진들에게 있겠지만 현실적으로 사태를 수습할 책임은 현 경영진에게 있는만큼, 임 회장과 이 행장의 부담은 클 수밖에 없다. 

결국 이 행장은 지난 27일 긴급 대국민 사과문을 발표했다. 다음 날에는 이 행장을 비롯해 임직원들이 고객 신뢰 및 임직원 윤리 회복을 위한 실천 결의식을 가졌다. 

현재 금융감독원은 국민은행에 대해 특별 검사를 실시하고 있다. 또 금융소비자원은 국민은행의 비리·부실 의혹과 관련, 금융감독원에 국민검사를 청구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금소원은 어윤대 전 KB금융 회장과 민병덕 전 국민은행장을 고발하고, 임 회장과 이 행장에 대해선 사퇴 운동을 벌일 계획이다. 

국민은행 사태가 터지기에 앞서 동양사태가 금융 수장들을 궁지로 몰았다. 신제윤 금융위원장과 최수현 금감원장은 대기업 부실과 금융사의 불완전판매를 제대로 관리·감독하지 못한 책임으로, 많은 비판을 받고 있다. 

특히 동양사태가 터지기 전 동양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이른바 '청와대 회동'이 있었던 사실이 뒤늦게 드러나면서, 금융당국의 두 수장은 국정감사에서 강한 질타를 받아야 했다. 

앞으로 금융위와 금감원은 동양사태와 관련해 감사원으로부터 감사를 받을 것으로 보인다. 또 동양사태 피해자들은 신 위원장과 최 원장을 검찰에 고발할 계획이다. 신 위원장과 최 원장은 취임 후 얼마 되지 않아 일부 금융사에 대한 관치금융 의혹에도 휘말리며 곤혹을 치룬 바 있다. 

홍기택 산은금융그룹 회장 역시 대기업들의 부실로 고충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STX, 동양 등 대기업들이 잇따라 무너지면서 산업은행의 자산 건전성도 악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취임 1년차 CEO들에게 직면한 문제들 중 상당수가 전 경영진의 잘못에서 비롯된 경우가 많다"며 "그래도 현재 리더로써 문제들을 현명하게 처리해야만 남은 임기 동안 역량을 제대로 발휘할 수 있지 않겠냐"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