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포> 8·28 대책 '강남·강북 온도차 확연'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3-09-01 18:27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8·28 전월세 대책 발표 후 서울 강북지역 중개업소가 평소보다 활기를 띄고 있다. 사진은 도봉구 창동에 있는 동아청솔아파트 단지 모습.

아주경제 노경조 기자=전세수요의 매매 전환 유도를 위해 정부가 내놓은 8·28 전월세 대책 발표 후 지난 주말 둘러본 서울 강북지역 중개업소에는 평소보다 많은 문의전화와 물건을 보러 오는 사람들로 오랜만에 활기를 띤 모습이었다.

중개업자들은 아직 이른 감은 있지만 차츰 부동산경기가 나아질 것으로 기대했다. 그러나 서울 강남권은 강북권에 비해 정책 혜택 폭이 작아 거래절벽이 쉽사리 해소되기 힘들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정책의 수혜단지로는 도봉구와 노원구, 강북구 등 강북지역에 밀집한 6억원 이하 중소형 대단지 아파트들이 꼽힌다. 취득세 인하(1%)와 1%대 낮은 금리의 모기지론을 동시에 적용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강북구 수유동 으뜸공인 대표는 "4·1 대책 발표 때처럼 이번에도 정책효과가 나타날 것"이라며 "현재 3.3㎡당 1200만원 선인 인근 삼성래미안이나 벽산아파트의 매매가가 200만~300만원 오를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물론 관련 법안의 국회 통과를 전제로 한 이야기다.

노원구 상계동 K공인 관계자도 "일례로 기존 전셋값 6000만원짜리 원룸에 살던 사람이 같은 조건의 전세를 1억원을 주고도 못구하는 게 최근 상황"이라며 "월세로 돌리는 임대인이 늘고 전세물건은 없는 와중에 이번 정책이 매매 물꼬를 터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수유동 일대는 경전철 개통 호재까지 맞물려 기대감을 더하고 있다. 상계동 주공7단지 전용 79㎡와 주공6단지 59㎡도 현재 매매 시세가 각각 4억3000만원대, 3억원 미만으로 저렴해 2~3인 가족 단위의 수요자에게 인기를 끌 것으로 보인다.

반면 고가 아파트가 밀집한 강남권은 이번 정책에 시큰둥한 반응을 보였다.

부동산114에 따르면 취득세 2%가 유지되는 매매가 6억원 초과 9억원 이하 아파트는 강남3구(강남·서초·송파구)에만 10만7313가구가 몰려 있다. 서울 전체 아파트(127만가구)의 51.2%에 달한다.

송파구 가락동 D공인 대표는 "6억원 초과 물건들이 많은 강남권은 취득세 인하 효과가 직접 와닿지 않는다"며 "재건축아파트를 비롯해 투자심리를 자극시키기에는 부족하다"고 평가했다.

강남구 논현동 M공인 직원도 "국내 부동산시장의 지표로 볼 수 있는 강남권 아파트가 이번 정책에서 소외됐다"며 "매매가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올라가지 못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대책 수혜 대상에서 강남권이 배제됐다는 불만도 터져나왔다.

서초구 서초동 S공인 관계자는 "고가 주택이 많은 강남권은 취득세 1%만 조정해도 1000만원 이상에 달할 수 있어, 이번 대책으로 역차별을 받은 격"이라며 "강북권에서는 취득세를 1%로 맞추기 위한 거래가 이뤄지면서 자칫 아파트값 상승폭을 제한하는 부작용도 나올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일부 중개업자들은 관련 법안의 국회 통과 여부와 소급적용 시기 등 넘어야 할 산이 많은 만큼 수혜 지역과 대상을 섣불리 예측하기 어렵다고 입을 모았다.

도봉구 창동 동아청솔공인 대표는 앞서 4·1 대책 발표 당시 소급적용 기준이 자주 변경돼 혼선을 빚었던 것을 언급하면서 "새로운 정책이 나오면 일시적으로라도 분위기가 살아나는 것은 당연하다"며 "단 9월 국회 통과 여부와 적용대상 범위 설정 등에 따라 대책의 실효성이 달라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