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전국 주택값 2개월 연속 하락…전셋값은 상승세 계속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3-09-01 14:14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서울 아파트 전세가율 61.1%

아주경제 김현철 기자=전국 주택 매매가격이 2개월 연속 하락했다. 반면 전셋값은 상승세를 이어갔다.

한국감정원은 8월 전국 주택 매매가격이 지난 달보다 0.13% 하락했다고 1일 밝혔다.

전국 주택의 전세가격은 물건 부족 현상으로 전셋집을 구하려는 수요가 늘어나면서 0.42% 상승했다.

작년 동기와 비교한 전국 주택의 매매가격은 1.18% 내렸으나 전세가격은 3.55% 올랐다.

주택 매매가격은 서울(-0.41%), 대전(-0.26%), 세종(-0.24%), 경기(-0.23%), 전남(-0.22%), 울산(-0.16%), 인천(-0.14%) 등이 하락했고 대구(0.63%)와 경북(0.27%)은 상승했다.

수도권(-0.29%) 주택 매매가격은 3개월 연속 내렸다. 서울 강남에선 금천구(-0.54%), 서초구(-0.53%), 양천구(-0.53%) 등이 하락을 주도했고 서울 강북권에선 광진구(-1.22%), 노원구(-0.91%), 서대문구(-0.56%) 등이 크게 떨어졌다.

지방(0.02%)은 대구와 경북이 오름세를 유지했고, 대전과 전남은 신도시 입주 여파로 약세가 계속됐다.

주택유형별 가격은 아파트(-0.13%), 연립주택(-0.19%), 단독주택(-0.08%) 등 모든 유형이 내렸다.

지역별 주택 전세가격은 서울(0.79%), 대구(0.75%), 세종(0.66%), 경기(0.60%), 인천(0.58%), 대전(0.45%), 경북(0.32%), 충북(0.17%) 등이 상승했고 전남(-0.12%)은 하락했다.

수도권 주택 전세(0.67%)는 물량 부족과 수요 증가가 맞물리며 상승폭이 커졌다. 8월에 서울에선 송파구(1.51%), 강남구(1.50%), 영등포구(1.15%), 중랑구(1.05%), 노원구(0.97%), 성동구(0.96%) 등이 큰 폭으로 뛰었다.

지방(0.18%)도 산업단지와 공공기관 이전지역을 중심으로 올랐다.

주택유형별 전세가격은 아파트 0.59%, 연립주택 0.29%, 단독주택 0.06% 등 모든 유형에서 상승했다. 서울 아파트 전세는 한달간 1.07%나 뛰었다.

전국 주택의 평균 매매가격은 2억2907만원으로 집계됐다. 서울이 4억4522만원, 수도권은 3억1699만원으로 각각 집계됐고 지방은 1억4713만원 수준이다.

전국의 전세 평균 가격은 1억3297만원으로 지난달보다 올랐다. 서울 2억4111만원, 수도권 1억7639만원, 지방 9250만원이다.

8월 말 현재 전국 주택의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 비율은 60.9%로 지난달보다 0.3%포인트 높아졌다.

지역별 비율은 수도권 59.4%, 지방 62.2%로 각각 나타났다. 유형별로는 아파트 67.4%, 연립주택 62.7%, 단독주택 42.8% 등 순이다.

서울 아파트의 전세가율은 61.1%를 기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