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강규혁 기자=나노기술을 이용한 부작용 없는 차세대 항암면역세포 치료제가 개발됐다.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연구재단은 임용택 충남대 분석과학기술대학원 교수팀이 암환자의 면역세포와 나노기술을 이용해 항암치료의 효과를 3배 이상 높이는 방법을 개발했다고 17일 밝혔다.
연구팀은 면역력을 높이는 면역증강물질인 ‘단편 DNA(CpG ODN)’를 넣어 수지상세포를 활성화하고 면역억제를 유도하는 유전자 STAT3를 파괴하는 ‘작은 간섭 RNA(siRNA)’를 결합해 나노미터(㎚·10억분의 1m) 크기의 복합체(hybrid nanoconjugates)를 만들었다.
이 복합체는 치료효과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근적외선 형광 조영제를 결합하고 외부를 생체 친화성 고분자로 포장해 암세포 주위의 면역세포에 효과적으로 전달된다.
임 교수는 "항암면역기능을 담당하는 두 분자(단편 DNA와 작은 간섭 RNA)를 결합해 기존의 항암면역치료제보다 암 치료 효과를 최소 3배 이상 높일 수 있었다" 며 "이 기술은 항원이 알려진 암이나 질병 치료에만 쓰이던 기존의 항암면역세포 치료제의 한계를 극복해, 다양한 암과 질병 치료에 두루 활용할 수 있는 원천기술이 될 것" 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