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홍종일 연세대 교수 |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연구재단은 홍종일 연세대 신소재공학과 교수(사진)팀이 양성자(proton)를 300eV(전자볼트) 수준의 작은 에너지로 가속한 뒤 이 빔을 인공격자에 조사(照射)해 코발트산화물을 코발트로 환원하는 데 성공했다고 4일 밝혔다.
이는 작은 에너지를 가진 양성자(수소 이온)을 충돌시키되 빔의 농도와 에너지를 제어함으로써 특정 층의 산소 원자만 선택적·비파괴적으로 제거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 신기술을 전자 소자 제작에 응용하면 공정 과정을 단순화할 수 있어 제조 단가를 낮추고 새로운 소자의 개발을 앞당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온 조사(照射)법을 이용한 나노 패터닝에 관한 기존 연구들은 헬륨, 질소, 아르곤, 크립톤, 갈륨 등 비교적 무거운 이온을 상당히 높은 수준의 에너지로 가속한 뒤 충돌시키는 방법을 택한 경우가 많았다.
이럴 경우 높은 에너지 탓에 제어하기 어려운 물리적·화학적 손상이나 결함이 생길 수 있다는 점이 문제점으로 지적됐다.
홍 교수는 “금속과 산화물뿐만 아니라 질화물, 황화물 등 여러 화합물로 구성된 복잡한 구조에서도 원하는 부분만 선택해 3차원 나노 패터닝을 할 수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