냉동생지 사업은 빵의 반죽상태 또는 일정한 가공 공정을 거쳐 급속 냉각한 후 필요할 때 오븐에서 바로 구워 먹을 수 있는 것으로, 일본∙대만 등의 코스트코 등 대형 마트로의 수출이 5월말 기준 지난해 대비 30% 정도 신장 됐다.
또한 본사가 있는 충주에 베이커리 매장을 개설하고 건국대 충주캠퍼스 등 대학내로 진출을 확대해 갈 예정이며, 자회사로 띵크커피 브랜드를 런칭 광화문, 압구정에 이어 두산그룹에 3호점을 오픈하는 등 프랜차이즈 매출 확대에도 주력하고 있다.
회사측은 지난해 2월, 충주 신 공장을 준공해 냉동생지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냉동생지의 수출 및 내수 수요를 충분히 충족시킬 수 있게 됐으며, 높은 생산성과 원가 절감도 가능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또한 환경산업은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켜 사료화 시키는 건조기 제작 및 시설의 위탁관리 사업으로, 이미 지난 2006년부터 수원시는 운영 중에 있으며, 김포시와는 지난 2010년 12월에 한강신도시 크린센터 설치공사 중 약 36억원에 달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시설을 수주해 현재 시험 운영 중에 있다고 전했다.
한편, 서울식품공업은 지난 1955년에 설립된 식품 기업으로, 1973년에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됐으며, 자본금은 331억원, 종업원수는 200여명으로 충북 충주에 본사 및 공장을 두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