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안부, 국민 맞춤형 ‘스마트 전자정부’ 추진한다

(아주경제 김희준 기자)행정안전부는 국민이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서비스를 맞춤형으로 이용할 수 있는 ‘스마트 전자정부’(Smart Gov) 계획을 추진한다고 29일 밝혔다.

이와 관련 행안부는 기존 전자정부 서비스가 스마트폰과 태블릿 PC, 소셜네트워크 서비스(SNS) 등 모바일 환경의 급속한 변화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고 판단, 이번 계획을 수립했다.

이에 따라 행안부는 ‘국민과 하나 되는 세계 최고의 스마트 전자정부 구현’이라는 비전 아래 5대 과제 43개 세부과제를 제시했다.

추진과제에 따르면 먼저 ‘세계 최고의 모바일 전자정부 구현’을 위해 민원24, 홈택스, 국가대표 포털 등 국민 생활과 밀접한 기존 정보시스템을 모바일 기기로 이용할 수 있게 할 방침이다.

특히 위치기반과 증강 현실 등을 활용해 지역생활 불편신고 서비스, 인허가 가능지역 진단서비스 등의 혁신 서비스를 대거 추진한다.

또 ‘안전하고 따뜻한 사회 구현’을 위해 ‘범죄 지도’를 구축하고 현장상황을 CCTV 통합관제센터 등과 연계해 대응하는 현장 밀착형 범죄예방체계를 구성할 계획이다.

스마트워크 활성화를 위해서는 2015년까지 전국 50곳의 공공 스마트 워크센터를 구축하고 전자결재가 가능한 모바일 오피스를 전 중앙행정기관 및 지자체에 보급한다.

소통 기반의 맞춤형 대국민 서비스 제공을 위해 SNS를 도입하고 정책 및 예산 집행상황 등의 정보 공개를 확대하는 한편 세금 및 공과금 등 공공기관에서 제각각 제공하던 정보를 통합ㆍ일괄 제공하는 ‘생활정보 통합 알리미 서비스’를 도입한다.

‘기초가 탄탄한 전자정부 인프라’ 구현을 위해 웹 표준 준수를 의무화하고 스마트폰 분실, 악성코드 감염 및 해킹 등에 대비한 보안정책도 강화할 예정이다.

국가 정보화사업 발주제도를 개선하는 등 지속가능한 전자정부 발전기반도 마련할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