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강원, 기후변화 재난에 취약"

사망자.전염병 발생률 높아
부산 등 광역시는 피해 적어

(아주경제 김종원 기자) 전라남도와 강원도, 경상남도 지역이 기후변화로 인한 재해에 가장 취약한 지역으로 나타났다.

상대적으로 광주, 대구, 부산 등 광역시는 피해가 적은 것으로 조사됐다. 

장재연 아주대 예방의학교실 교수는 오는 13일 연세대 상남경영관에서 '지방자치단체의 기후변화 건강적응정책 어떻게 준비할 것인가'라는 주제로 열리는 월례포럼에서 이 이 같은 연구결과를 발표할 것이라고 12일 밝혔다.

장 교수는 국내의 홍수, 태풍, 폭풍으로 인한 연평균 사망자 비율 및 기후변화 관련 전염병 환자 연평균 발생률, 1994년 7∼8월 폭염 발생으로 인한 사망자 증가율 등을 비교분석하는 방법으로 결과를 도출했다.

기후변화로 인한 재해로 가장 취약한 지역은 전남으로 조사됐다.

전남은 폭풍으로 인한 연평균 사망자 비율(인구 100만명당 4.09명), 폭염발생 사망률(1.08명), 설치류 매개 전염병 발생률(31.57명), 비브리오패혈증 발생률(0.84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취약성이 가장 높았다.

기후변화가 진행되면 생태계 변화가 일어나 쥐가 매개하는 쯔쯔가무시, 한타바이러스 등 전염병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또 지구온난화로 해수온도가 높아지면 비브리오 패혈증 환자가 늘어난다.

강원 지역은 상대적으로 홍수(4.79명), 태풍(5.97명)에 의한 사망률이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또 인천시 다음으로 말라리아 환자 발생률(6.03명)도 높았다.

경남 지역은 폭염 사망률과 각종 기상재해 사망률이 높았다. 경북 역시 다양한 건강영향 분야에서 상대적으로 피해가 많이 발생한 곳이었다.

인천은 폭염 사망률과 말라리아 환자 발생률이 인구 100만명당 각각 1.51명, 12.06명으로 전국에서 가장 높아 광역시 중 가장 취약한 도시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서울은 피해발생률은 높지 않지만 절대 인구가 많아 피해자가 많은 경향을 보였다.

또 경기도 역시 발생률이 낮은 편이었지만 많은 인구로 인해 기후변화에 대한 취약성이 높았다.

장 교수는 "기후변화 건강적응 정책은 지역적 특성을 고려해 마련돼야 한다"며 "정부 기관에 기후변화를 담당하는 전담 부서 설치 등 인력과 조직, 예산의 확대가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jjong@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